최근 본 상품 (0)
  • 2024 명교육학(하)
    2024 명교육학(하)
    20,700
  • 공기업 시험대비 최중락 객관식 경영학(제10판)
    공기업 시험대비 최중락 객관식 경영학(제10판)
    38,000
1/8
2024 명교육학(하)
2024 명교육학(하)
0.0
  • 이용후기
  • 상품문의
  • 정가
    23,000
  • 판매가
    20,700 10%
  • 적립금
    1,150원 (배송완료시 지급/이용후기 작성시 50원 지급) 5%
  • 배송비
    2,500원 (25,000원 이상 무료배송)(우체국택배)
  • 소득공제
    추가 소득공제 가능 도서(자세히 보기)
  • 혜택
    [2025년 7월] 신용카드 무이자할부 이벤트
    [2025년 7월] 신용카드 무이자할부 이벤트 더보기+

    2025년 7월 카드사 무이자 할부 혜택 안내

    EVENT 01. 카드사 무이자 할부

    기간 카드사 할부적용 금액 할부개월 신청방법 비고
    25.07.01
    ~25.07.31
    현대카드 5만원 이상 2~3개월 별도 신청
    없이 적용
    PG업종만 제공
    롯데카드 2~5개월
    국민카드 2~5개월
    신한카드 2~3개월
    삼성카드 2~3개월
    비씨카드 2~5개월
    우리카드 2~5개월
    NH카드 2~6개월
    하나카드 2~5개월
    광주카드 2~7개월

    EVENT 02. 부분 무이자 할부

    기간 카드사 할부개월 고객부담 면제 비고
    25.07.01
    ~25.07.31
    삼성카드 7개월 1~3회차 잔여회차 면제 별도 신청 없이 적용
    11개월 1~5회차
    23개월 1~10회차
    현대카드 10개월 1~5회차 잔여회차 면제 별도 신청 없이 적용
    12개월 1~6회차
    신한카드 7개월 1~3회차 잔여회차 면제 별도 신청 없이 적용
    9개월 1~4회차
    11개월 1~5회차
    23개월 1~10회차
    국민카드 6개월 1~3회차 잔여회차 면제 별도 신청 없이 적용
    10개월 1~5회차
    하나카드 6개월 1~3회차 잔여회차 면제 별도 신청 없이 적용
    10개월 1~4회차
    12개월 1~5회차
    18개월 1~8회차
    BC카드 10개월 1~4회차 잔여회차 면제 별도 신청 없이 적용
    12개월 1~5회차
    우리카드 10개월 1~4회차 잔여회차 면제 별도 신청 없이 적용
    12개월 1~5회차
    NH카드 7개월~10개월 1~3회차 잔여회차 면제 별도 신청 없이 적용
    12개월 1~4회차
    18개월 1~5회차
    24개월 1~6회차

     ■ 유의사항

    수협BC카드의 경우 BC카드 부분무이자 혜택에서 적용 제외됩니다.

    개인사업자/법인/체크/선불/기프트/하이브리드/토스카드/은행계열카드는 적용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은행계열카드 : 카드 전/후면에 BC마크가 없는 카드 (예. 제주 등)

    BC카드 및 NH농협 카드의 경우 사전 신청 고객에 한하여 금액에 따른 부분 무이자 우대 회차 적용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카드사 홈페이지 혹은 ARS 문의 바랍니다. ( BC : 1899-5772 / NH농협 : 1644-2009 )

    무이자 할부 결제 시 포인트, 마일리지 등 다른 혜택과 중복 적용 되지 않습니다.

    당사 대표 가맹점이 아닌 직계약(자체) 가맹점, 신규 가맹점 등 일부는 적용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PG업종에만 해당하는 무이자로 이 외 업종은 적용 불가 합니다. (제약, 등록금, 도시가스 등)

    하나카드는 PG업종 외 TASF 취급수수료, 환금성(상품권), 학원, 면세점, 보험업종 등의 경우 적용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본 행사는 카드사 사정에 따라 변경 또는 중단될 수 있습니다.

  • 저자
  • 출판사
  • 발행일
    2022-12-05(교재 판권에 표기된 발행일이며 실제 발행일과 다릅니다)
  • 판형
    190x260/404p
  • ISBN
    9788963367491
    ?
    ISBN이란?
    국제표준도서번호(International Standard Book Number)로서, 국제적으로 표준화된 방법에 따라 전세계에서 생산되는 도서에 부여된 고유번호를 말합니다.
총 상품금액 0
상세소개
★ 2024 명교육학(하) 미리보기(클릭~!!)

Scene #1
오래전 예술교육을 전공하던 박사과정 당시, 한 동료가 이런 질문을 했다.
“명선생! 계제형이 무슨 말이야?”
“네?”
“교육학원론에서 학교제도론을 보고 있는데, 계제형이란 말이 나와서... 그거 일본말인가?”
“계제형(階梯型)이란 용어 옆에 한자가 병기(倂記)되어 있지 않나요?”
“응, 내가 보는 책에는 한글로 그냥 계제형이라고만 나와 있어...”


Scene #2
“롸, 롸, 롸... 롸이겔루스! 롸이겔루스!”
교수-학습 이론을 가르치는 교수님은 입을 왼쪽으로 비틀며 Reigeluth를 발음하느라 애쓰고 있었다. 이 책에는 롸이겔루스라고 하고, 저 책에는 라이겔루스라고 쓰고 있는 Reigeluth.


장면 1과 장면 2는 우리가 배우는 교육학이 가진 현재의 사정과 문제점을 반영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배우는 대부분의 학문이 그렇듯이 교육학도 일본을 거쳐 들어오면서 한자투, 아니 일본투의 개념과 단어들로 가득 차 있습니다. 현실에서는 잘 쓰지 않는 일본식 용어들을 교육학에서 그 어떤 학문보다 애용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러면서도 한자를 같이 병기해주지 않고 있고, 원래의 외국어 용어를 함께 써주는 수고를 당연히 하고 있지 않습니다. 또한 장면 2의 경우에서 보듯 인명에 대한 합의된 표준어가 없이 이 선생님, 저 교수님마다 제각각 발음하고 있습니다. 그러면서도 외국어 병기가 없는 교과서들이 허다합니다.


이 책은 우선 이런 모순을 줄일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고민을 담았습니다. 무엇보다 한자와 외국어를 병기하여 개념, 정의가 명확히 드러나게 하는데 애를 썼습니다. 학자들의 이름은 여러 교과서들에서 공통적으로 채택하고 있는 것을 중심으로 원래 발음에 충실할 수 있도록 하면서 반드시 외국어를 병기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습니다. 더불어 번역투와 만연체를 지양하고, 전체적으로 문장과 문맥을 더 쉽게 간추리고 정리하려고 하였습니다.


두 번째로, 이 책은 숫자와 기호(① ② ③, ㉠ ㉡ ㉢, ⓐ ⓑ ⓒ)로 내용을 정리하여, 서술식과 요약식(개조식)을 겸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현재의 교육학 논술 시험과 공무원 시험이 가진 특징을 감안하여 책의 내용을 정리와 암기에 용이하도록 체계화한 것입니다. 수험생들이 흔히 하는 서브노트 개념이 이 책에 적극 반영되어 있다고 보면 될 것입니다.
셋째, 이 책은 목차와 색인을 꼼꼼하게 정리하여, 수험생이 원하는 주제와 개념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배려하였습니다. 갖가지 개념과 용어로 넘쳐나는 교육학 책의 특성상, 그리고 1천여 페이지에 달하는 책의 크기를 감안할 때 꼼꼼한 목차와 색인은 필수적일 수밖에 없습니다. 특히나 교육학 책을 깊이 있게 다루어보지 못했던 여러 수험생들은 앞과 뒤에 배치된 목차와 색인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것을 권해 드립니다.


이 책은 교육학 시험이 가진 특성과 문제점에 주목하여 오랜 집필 과정을 거쳐 탄생하였습니다. 이해(理解)에 앞서 암기(暗記)에 치중할 수밖에 없는 교육학 시험의 현실을 적극 수용하여, 좀 더 나은 수험 대비의 방법론을 적용하려 애썼습니다. 책 내용을 세분화하고 일목요연하게 정리한 것은 그러한 방법론의 일환입니다.


덧붙여 교육학 시험 준비는 사회과학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점을 말씀드리려 합니다. 그리고 교육학 시험 준비는 전략적 방법론이 중요하다는 점을 말씀드리려 합니다. 상당히 맛이 없고, 건조하며, 적확성과 면밀함이 지배하는 것이 교육학임을 힘주어 말씀드립니다. 어쩔 수 없지만, 시험 준비를 그렇게 진행해 나가야 한다는 점을 반드시 인식하고, 그에 맞게 특성화된 공부를 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끝으로 이 책은 임용시험을 준비하는 수험생을 위해 집필하였지만, 교육학과 관련된 시험을 준비하는 수험생들이 참고하여도 부족하지 않도록 내용을 충실히 담아 정리하였습니다. 문장의 군더더기들은 제거하되, 표현의 정확성과 내용의 밀도는 상당 수준으로 높였습니다. 모쪼록 여러분의 합격으로 가는 길에 작은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저자 드림

목차
PART 08교육과정론 
chapter 01. 교육과정의 기초 2 
제1절 교육과정의 정의 2 
1. 교육과정의 개념 2 
2. 교육과정의 유형별 정의 2 
제2절 교육과정의 분류 2 
1. 기본 성격에 의한 분류 2 
2. 전개과정에 의한 분류 7 
3. 의사결정자 수준에 의한 분류 7 
 
chapter 02. 교육과정의 역사와 유형 9 
제1절 교육과정의 발달 9 
1. 역사적 전개 9 
2. 주요 학자 14 
제2절 교육과정의 유형 18 
1. 교과 중심 교육과정(Subject-centered Curriculum) 18 
2. 경험 중심 교육과정(Experience-centered Curriculum) 20 
3. 중핵 교육과정(Core Curriculum) 21 
4. 학문 중심 교육과정(Discipline-centered Curriculum) 23 
5. 인간 중심 교육과정(Person-centered Curriculum) 26 
6. 통합 교육과정(Integrated Curriculum) 27 
7. 역량 중심 교육과정(Competency-based Curriculum) 28 
 
chapter 03. 교육과정 개발의 일반적 절차 31 
제1절 교육목표의 설정 31 
1. 인지적 영역(Cognitive Domain) 31 
2. 정서적(정의적) 영역(Affective Domain) 32 
3. 심리운동적 영역(Psycho-motor Domain) : 해로우(Harrow) 32 
제2절 교육내용(학습경험)의 선정 33 
1. 교육내용의 의미 33 
2. 교육 내용 선정의 준거 33 
제3절 교육 내용의 조직 34 
1. 조직 방식에 따른 방법 34 
2. 조직 요소에 따른 방법 35 
제4절 교수-학습의 과정 : 단원의 전개 37 
1. 의미 37 
2. 구성 요소와 절차 37 
제5절 교육과정의 평가 37 
 
chapter 04. 교육과정 개발 모형 38 
제1절 목표 모형(합리적 모형) 38 
1. 타일러(Ralph Tyler)의 목표 중심(합리적) 모형 38 
2. 타바(Taba)의 귀납적 (단원) 개발 모형 42 
제2절 니콜스(Nicholls)와 니콜스(Nicholls)의 순환적 교육과정 개발  모형 44 
1. 특징 44 
2. 절차 44 
3. 장점 44 
4. 단점 45 
제3절 스킬벡(Skilbeck)의 학교 중심 교육과정 개발 모형 (SBCD, School-Based Curriculum Development) 45 
1. 개요 45 
2. 특징 45 
3. 교육과정 개발의 절차 46 
4. 한계 46 
제4절 위긴스(Wiggins)와 맥타이(McTighe)의 후진 설계(Backward  Design) 모형 47 
1. 개념 47 
2. 특징 47 
3. 설계의 단계 48 
4. 비판 49 
제5절 슈왑(J. Schwab)의 실제적 교육과정 모형 49 
1. 슈왑의 진단 49 
2. 숙의(숙고, Deliberation) 49 
3. 교육과정의 공통적인 구성요소 50 
제6절 워커(Walker)의 자연주의적 모형(숙의 모형) 50 
1. 개요 50 
2. 개발 절차 50 
3. 장점 51 
4. 단점 51 
제7절 아이즈너(E. Eisner)의 예술적 접근 모형(Artistic Model of Curriculum) 52 
1. 개요 52 
2. 개발 단계 52 
3. 참 평가(Authentic Assessment) 54 
4. 교육적 감식안과 교육비평 55 
5. 특징 56 
6. 한계 56 
제8절 재개념화 모형(Reconceptualization) 57 
1. 개요 57 
2. 파이나(Pinar)의 실존적 재개념화 57 
3. 애플(Apple)의 구조적 재개념화 60 
4. 휴브너(Huebner)와 그린(Greene)의 현상학적 접근 61 
 
chapter 05. 교육과정 실행 63 
제1절 교육과정 실행의 의미 63 
1. 교육과정 실행 연구의 등장 63 
제2절 교육과정 실행의 관점 64 
1. 개요 64 
2. 충실도(fidelity) 관점 65 
3. 상호적응(mutual adaptation) 관점 66 
4. 교육과정 생성(curiculum enactment) 관점 67 
제3절 교육과정 실행과 계획 간의 관계 69 
1. 세 가지 관점과 국가 교육과정 69 
2. 우리나라의 경우 69 
2. 향후 과제 70 
 
 
PART 09교수-학습 이론 및 교육공학 
chapter 01. 교수-학습이론(敎授-學習理論) 74 
제1절 교수-학습이론의 기초 74 
1. 교수(敎授, Instruction)의 의미 74 
2. 교수이론의 의미(브루너(J. Bruner)의 견해) 74 
3. 학습(學習, Learning)의 의미 74 
4. 교수와 학습의 비교 74 
5. 교수방법의 종류 75 
6. 교수방법 선택의 기준 75 
7. 학습 지도 원리 76 
제2절 수업 설계의 절차 77 
1. 일반적인 절차 77 
2. 수업의 실제 : 수업 활동 80 
제3절 교수이론의 모형 83 
1. 캐롤(Carroll)의 학교학습모형(Model of School Learning) 83 
2. 블룸(Bloom)의 완전학습모형(Learning for Mastery) 85 
3. 브루너(J. Bruner)의 발견학습모형(Discovery Learning) 86 
4. 오수벨(D. P. Ausubel)의 유의미 수용 학습이론(Meaningful Reception Learning) 89 
5. 가네(R. Gagne)의 수업이론(Instruction Theory) 92 
6. 라이겔루스(C. M. Reigeluth)의 교수이론  96 
7. 메릴(Merill)의 내용-요소 제시 이론(구인 전시 이론, Components Display Theory) 99 
8. 켈러(John Keller)의 학습동기유발 교수이론(ARCS 이론) 102 
9. 란다(L. N. Landa)의 순차-발견식 교수이론(Algo- Heuristic Theory of Instruction) 104 
10. 플랜더스(Flanders)의 언어 상호작용 분석 105 
제4절 구성주의(Constructivism) 교수이론 105 
1. 구성주의의 특징 105 
2. 구성주의 수업설계의 요소와 원리 106 
3. 구성주의 교수이론 106 
 ⑴ 인지적 도제이론(Cognitive Apprenticeship Theory) 106 
 ⑵ 상황학습 이론(Situated Learning Theory) 107 
 ⑶ 인지 유연성(융통성) 이론(Cognitive Flexibility Theory) 107 
 ⑷ 문제중심학습(PBL, Problem Based Learning) 108 
 ⑸ 정황교수이론(Anchored Instruction) 110 
 ⑹ 상보적 교수(Reciprocal Teaching) 111 
 ⑺ 자원기반학습(Resource-based Learning) 112 
 ⑻ 조나센(Jonassen)의 구성주의 학습환경 설계 모형(CLEs, Constructive Learning Environments) 115 
 ⑼ 목표 기반 시나리오(GBS, Goal-based Scenarios) 116 
제5절 교수 방법 117 
1. 강의법 117 
2. 문답법 118 
3. 토의법 119 
4. 문제해결법(Problem Method)  123 
5. 구안법(構案法, 프로젝트 기반 수업, Project Method) 124 
6. 탐구법(探究法, Inquiry Method) 125 
7. 자기주도학습(Self-directed Learning) 125 
8. 프로그램 학습(Programed Learning)  127 
9. 개별화 학습(Individualized Learning) 128 
10. 협동학습(Cooperative Learning) 131 
제6절 교수설계 모형 143 
1. 교수설계의 개요 143 
2. 교수체제설계 모형(ISD, Instructional System Design) 144 
 
chapter 02. 교육공학(Educational Technology) 149 
제1절 교육공학의 기초 149 
1. 교육공학의 이해 149 
2. 교수-학습 방법에 관한 교육공학적 접근 150 
제2절 교육공학의 발달 151 
1. 시각교육기(Visual Education) 151 
2. 시청각 교육기(Audio-Visual Education) 151 
3. 시청각 통신(Audio-Visual Communication) 152 
제3절 교수매체 153 
1. 교수매체의 이해 153 
2. 교수매체 연구 154 
3. 교수매체의 선정 및 활용 155 
제4절 교육공학의 매체 활용 156 
1. 멀티미디어 156 
2. 컴퓨터 보조수업(CAI, Computer Assisted Instruction) 158 
3. e-러닝(e-Learning) 160 
4.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 161 
5. 플립드 러닝(Flipped Learning)  162 
 
 
PART 10교육평가론 
chapter 01. 교육평가의 기초 166 
제1절 교육평가의 정의 166 
1. 개념 166 
2. 교육평가의 기능 166 
제2절 교육평가의 관점 167 
1. 선발적 교육관(측정관) 167 
2. 발달적 교육관(평가관) 167 
3. 인본주의 교육관(총평관) 168 
 
chapter 02. 교육평가의 모형 169 
1. 타일러(Tyler)의 목표달성 모형(Goal-Based Evaluation Model) 169 
2. 프로버스(Provus)의 격차평가 모형(괴리 모형, Discrepancy Evaluation Model) 170 
3. 스크리븐(Scriven)의 탈목표평가 모형(가치판단 모형, Goal-Free Evaluation Model) 171 
4. 스테이크(Stake)의 안면 모형(종합실상 모형, Countenance of Educational Evaluation Model) 172 
5. 아이즈너(Eisner)의 예술적 비평 모형(Connoisseurship and Criticism Model) 173 
6. 스터플빔(Stufflebeam)의 의사결정 모형(CIPP, Context Input Process  Product Evaluation Model) 174 
7. 스티븐스(Stevens)의 소비자 중심 평가 모형(소비자 지향 평가 모형, Consumer Oriented Evaluation Model) 176 
8. 구바(Guba)와 링컨(Lincoln)의 자연주의적 평가 모형(Naturalistic Evaluation Model) 177 
 
chapter 03. 평가의 종류 178 
제1절 평가 기준에 따른 유형 178 
1. 상대평가(규준지향평가, Norm-Referenced Evaluation) 178 
2. 절대평가(준거지향평가, 목표지향평가, Criterion-Referenced Evaluation) 179 
3. 성취평가제 181 
제2절 자기참조평가 182 
1. 능력지향평가(Ability-Referenced Evaluation) 182 
2. 성장지향평가(Growth-Referenced Evaluation) 183 
제3절 평가 시기에 따른 유형 184 
1. 진단평가(투입평가, Diagnostic Evaluation) 184 
2. 형성평가(과정평가, Formative Evaluation) 186 
3. 총괄평가(총합평가, 성과평가, Summative Evaluation) 187 
제4절 수집 자료와 분석방법에 의한 분류 188 
1. 양적 평가 188 
2. 질적 평가 188 
3. 양적 평가와 질적 평가의 비교 189 
제5절 정의적 영역에 대한 평가 189 
1. 특징 189 
2. 평가 방법 190 
3. 평정법(評定法, Rating Method)의 유형 191 
4. 사회성 측정법(Sociometry Method, 수용성 검사, 교우관계 조사법) 194 
제6절 평가의 오류 195 
1. 집중 경향의 오류 195 
2. 후광효과(인상의 오류, 연쇄 오류, Halo Effect) 195 
3. 논리적 오류 195 
4. 대비의 오류 195 
5. 근접의 오류 196 
6. 무관심의 오류 196 
7. 표준의 오류 196 
8. 의도적 오류 196 
 
chapter 04. 수행평가(Performance Assessment) 197 
제1절 수행평가의 개념 197 
1. 개요 197 
2. 수행평가의 정의 197 
3. 수행평가의 필요성 197 
4. 유사개념 198 
5. 수행평가의 특징 198 
6. 장점과 단점 199 
제2절 수행평가의 방법 200 
1. 수행평가의 개념적 범위 200 
2. 수행평가의 방법 200 
제3절 수행평가의 개발 절차 및 고려사항 202 
1. 개발 절차 202 
2. 고려사항 203 
3. 문제점 204 
 
chapter 05. 평가도구의 양호도 206 
제1절 타당도(Validity) 206 
1. 개념 206 
2. 타당도의 유형  206 
제2절 신뢰도(Reliability) 208 
1. 개념 208 
2. 신뢰도 추정 방법 209 
3. 신뢰도의 유형  209 
4. 신뢰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 211 
5. 신뢰도와 타당도의 관계 211 
6. 울포크(Woolfolk)의 신뢰도와 타당도 높이기 212 
7. 객관성(Objectivity) : 평가자 신뢰도 212 
8. 실용성(Usability) 213 
 
chapter 06. 평가 문항의 제작 214 
제1절 평가 문항 제작의 기초 214 
1. 문항 제작 시 고려사항 214 
2. 평가 문항의 제작 절차 214 
제2절 평가 문항의 유형 215 
1. 객관식 검사 215 
2. 주관식 검사 217 
3. 표준화 검사(Standardized Test) 218 
 
chapter 07. 문항의 통계적 분석 220 
제1절 문항분석 220 
제2절 문항분석 이론 220 
1. 고전검사이론(Classical Test Theory) 220 
2. 문항반응이론(Item Response Theory) 223 
 
 
PART 11교육행정론 
chapter 01. 교육행정의 기초 230 
제1절 교육행정의 개념 230 
1. 교육에 관한 행정 230 
2. 교육을 위한 행정 230 
3. 행정과정설(Administrational Process) 231 
4. 교육의 행정 231 
5. 교육지도성설 232 
6. 일반적 정의 232 
제2절 교육행정의 성격 232 
1. 봉사적 성격 232 
2. 수단적·기술적 성격 232 
3. 전문적 성격 232 
4. 정치적 성격 232 
5. 민주적 성격 233 
6. 독자적 성격 233 
제3절 교육행정의 원리 234 
1. 민주성의 원리 234 
2. 효율성의 원리 234 
3. 합법성의 원리 234 
4. 기회균등의 원리 234 
5. 지방분권의 원리 235 
6. 자주성의 원리  235 
7. 안정성의 원리 235 
8. 전문성 보장의 원리 235 
 
chapter 02. 교육행정이론 236 
제1절 과학적 관리론(Scientific Management Theory) 236 
1. 테일러(Taylor)의 과학적 관리론 236 
2. 과학적 관리론의 장점과 단점 236 
3. 과학적 관리론의 교육행정에의 적용 237 
제2절 행정관리론(행정과정론, Administrative Management Theory) 238 
1. 페이욜(H. Fayol)의 일반관리론 238 
2. 굴릭(Gulick)과 어윅(Urwick)의 행정관리론 239 
제3절 관료제론(Bureaucracy) 239 
1. 개요 239 
2. 베버의 권위(Authority) 유형 240 
3. 관료제의 특징 240 
4. 관료제의 문제점 240 
5. 학교 관료제의 특징 241 
6. 학교의 관료제화 이유 241 
제4절 인간관계론(Human Relations Theory) 242 
1. 개요 242 
2. 호손실험 242 
3. 호손실험의 의의 243 
4. 인간관계론의 교육행정에의 적용 243 
제5절 행동주의(Behaviorism) 244 
1. 배경 244 
2. 버나드(Barnard)의 조직 연구 244 
3. 사이몬(Simon) 244 
4. 행동주의의 특징 244 
5. 행동주의의 교육행정에의 적용 245 
제6절 체제이론(System Theory) 245 
1. 개념 245 
2. 체제이론의 내용 246 
 
chapter 03. 교육기획과 교육정책 250 
제1절 교육기획의 의의 250 
1. 기획(Planning)의 개념 250 
2. 교육기획의 개념 250 
3. 교육기획의 목적 250 
4. 교육기획의 기능 250 
제2절 교육기획의 유형 251 
1. 기획 기간에 따른 유형 251 
2. 수립 주체에 따른 유형 251 
3. 기획 범위에 따른 유형 251 
제3절 교육기획의 원리 251 
1. 내용적 원리 251 
2. 방법적 원리 252 
제4절 교육기획의 과정 252 
1. 기획 이전 단계 252 
2. 기획 단계 252 
3. 기획 형성 단계 253 
4. 기획 정교화 단계 254 
5. 기획 실천 단계 254 
6. 평가와 수정, 재기획 단계 255 
제5절 교육기획의 접근 방법 255 
1. 사회수요적 접근(Social Demand Approach) 255 
2. 인력 수요 접근(Manpower Demand Approach) 256 
3. 수익률 접근(Rate of Return Approach) 257 
4. 국제 비교에 의한 접근 방법 257 
제6절 교육기획의 효용성과 한계 258 
1. 효용성 258 
2. 한계 258 
제7절 교육정책 259 
1. 개념 259 
2. 교육정책의 특성 260 
 
chapter 04. 의사결정이론(Decision-Making Theory) 261 
제1절 의사결정의 기초 261 
1. 의사결정의 개념 261 
2. 의사결정의 과정 261 
제2절 의사결정 모형 261 
1. 합리모형(Rational Model) 261 
2. 점증모형(Incremental Model) 262 
3. 만족모형(Satisfying Model) 263 
4. 혼합모형(혼합주사모형, Mixed-Scanning Model) 263 
5. 최적모형(Optimal Model) 263 
6. 쓰레기통 모형(Garbage Can Model) 264 
제3절 의사결정의 참여 모형 265 
1. 브리지스(Bridges)의 참여적 의사결정 265 
2. 호이(Hoy)와 타터(Tarter)의 참여적 의사결정의 규범 모형 266 
3. 호이(Hoy)와 미스켈(Miskel)의 교사들의 의사결정 참여에 관한 연구 268 
4. 브룸(Vroom)과 예튼(Yetton)의 의사결정 방법 268 
 
chapter 05. 동기이론(Motivation Theory) 270 
제1절 동기(Motive)의 개념 270 
제2절 동기의 내용이론(Content Theory) 270 
1. 매슬로우(Maslow)의 욕구계층이론(욕구위계론, Need Hierarchy Theory) 270 
2. 욕구계층이론의 다른 연구들 272 
3. 허즈버그(Herzberg)의 동기-위생 이론(Motivation- Hygiene Theory) 273 
4. 앨덜퍼(Alderfer)의 ERG이론(생존-관계-성장 욕구 이론) 277 
5. 맥그리거(McGregor)의 X·Y 이론 277 
6. 아지리스(Argyris)의 미성숙-성숙이론(Immaturity- Maturity Theory) 278 
제3절 동기의 과정이론(Process Theory) 280 
1. 브룸(Vroom)의 기대이론(Expectancy Theory, VIE이론) 280 
2. 포터(Porter)와 로울러(Lawler)의 기대이론(성과-만족 모형) 282 
3. 아담스(Adams)의 공정성 이론(Equity Theory) 283 
4. 로크(Locke)의 목표설정이론(Goal Setting Theory) 285 
 
chapter 06. 지도성 이론(Leadership Theory) 286 
제1절 지도성 이론의 개요 286 
1. 지도성(Leadership)의 개념 286 
2. 프렌치(French)와 레이븐(Raven)의 권력형태론 : 지도자 영향력의 근원 286 
3. 지도성의 기능 287 
제2절 지도성 이론 287 
1. 특성론(Traits Theory) 287 
2. 행위론(Behavioral Theory) 289 
3. 상황적 지도성이론(Contingency Theory) 292 
4. 새로운 지도성 이론들 298 
 
chapter 07. 학교조직 307 
제1절 조직의 기초 307 
1. 조직의 개념 307 
2. 조직의 특성 307 
3. 조직의 원리 307 
제2절 조직의 형태 308 
1. 공식조직과 비공식조직 308 
2. 계선조직과 참모조직 309 
제3절 조직의 유형 311 
1. 파슨스(Parsons)의 분류 : 조직의 목적 및 사회에 대한 기능 311 
2. 블라우(Blau)와 스콧(Scott)의 분류 : 1차적 수혜자는 누구인가 312 
3. 카츠(Katz)와 칸(Kahn)의 분류 : 조직의 본질적 기능 312 
4. 칼슨(Carlson)의 봉사조직 유형 313 
5. 에치오니(Etzioni)의 순응조직 유형 : 지배와 복종 관계 314 
6. 민츠버그(H. Mintzberg)의 분류 : 상황 315 
7. 호이(Hoy)와 미스켈(Miskel)의 학교 조직 분류 : 전문적 관료제 315 
8. 학자별 학교 조직 분류 316 
제4절 학교조직의 성격 317 
1. 전문적 관료제 317 
2. 조직화된 무질서(Organized Anarchy) 318 
3. 이완결합체제(Loosely Coupled System) 319 
4. 이중조직(이원적 구조) 319 
5. 학습조직(Learning Organization) 320 
제5절 학교조직 풍토론(Organizational Climate) 321 
1. 학교조직 풍토의 개념  321 
2. 핼핀(Halpin)과 크로프트(Croft)의 개방-폐쇄 학교조직 풍토(조직풍토 기술척도, OCDQ) 321 
3. 개정된 초등학교용 조직풍토 기술척도(OCDQ-RE) 323 
4. 리커트(Likert)의 관리체제이론(Management System Theory) 324 
5. 마일즈(Miles)의 조직건강론(Organizational Health Theory) 325 
6. 윌로워(Willower)와 존스(Jones)의 학교 풍토론 326 
7. 브룩오버(Brookover)의 학교학습 풍토 평가 326 
제6절 학교조직문화론(Organizational Culture Theory) 327 
1. 개념 327 
2. 호이와 미스켈의 학교 조직문화의 유형과 수준 327 
3. 스타인호프(Steinhoff)와 오웬스(Owens)의 학교문화 유형론 328 
4. 학교조직문화의 이해 328 
제7절 조직의 의사소통 329 
1. 개념 329 
2. 기능 329 
3. 의사소통의 원칙 : 레드필드(C. Redfield) 329 
4. 의사소통의 유형 330 
5. 의사소통망의 형태 332 
6. 의사소통의 기법 : 조하리의 창(Johari’s Window) 332 
제8절 조직의 갈등 관리(Conflict Management) 334 
1. 조직의 갈등상황(Conflict Situations) 334 
2. 갈등(Conflict)의 과정 334 
3. 갈등의 순기능과 역기능 334 
4. 갈등관리 전략 335 
5. 갈등의 처리 방안 335 
 
chapter 08. 장학행정(Supervision Administration) 337 
제1절 장학의 개념과 원리 337 
1. 장학의 정의  337 
2. 장학의 목적 337 
3. 멜콰이어(Melchoir)의 장학 원리 337 
제2절 장학의 발달 과정 338 
1. 관리장학 시대(1750-1930) 338 
2. 협동장학 시대(1930-1955) 338 
3. 수업장학 시대(1955-1970) 339 
4. 발달장학 시대(1970-현재) 339 
제3절 장학의 유형 339 
1. 조직 수준에 따른 분류 339 
2. 방법에 따른 분류 343 
 
chapter 09. 학교제도와 교육행정 347 
제1절 학교제도 347 
1. 학교제도(학제)의 의미 347 
2. 학교제도의 특성 347 
3. 현행 학제의 구조 347 
제2절 교육행정조직 348 
1. 중앙 교육행정조직 348 
2. 지방 교육행정조직 349 
제3절 교육자치제도 349 
1. 교육자치의 의의 349 
2. 교육자치의 기본 원리 349 
3. 현행 교육자치제도 350 
 
chapter 10. 교육재정 353 
제1절 교육재정의 개념과 특성 353 
제2절 교육재정의 종류 353 
1. 중앙 교육재정 353 
2. 지방 교육재정  353 
제3절 교육예산의 의미와 종류 354 
1. 교육예산의 의미  354 
2. 교육예산의 성격 354 
3. 교육예산의 원칙 355 
4. 교육예산의 종류 355 
제4절 교육비 356 
1. 공교육비와 사교육비 356 
2. 직접교육비와 간접교육비  356 
3. 표준교육비 356 
4. 일상경비 357 
5. 도급경비 357 
6. 학교운영지원비 357 
제5절 학교예산회계제도 357 
1. 학교예산회계제도의 도입 배경 357 
2. 학교예산회계제도의 운용 358 
제6절 교육예산제도 363 
1. 품목별 예산제도(항목별 예산제도, LIBS, Line Item Budgeting System) 363 
2. 성과주의 예산제도(PBS, Performance Budgeting System) 363 
3. 기획예산제도(PPBS: Planning Programming Budgeting System) 364 
4. 영기준 예산제도(ZBBS: Zero-Base Budget System) 366 
 
chapter 11. 학교경영 367 
제1절 학교경영의 개요 367 
1. 특징 367 
2. 학교경영계획 367 
3. 학교경영계획의 수립 절차 367 
제2절 단위 학교 책임경영제 368 
1. 의미 368 
2. 단위 학교 책임경영제 실시의 목적 368 
3. 단위 학교 책임경영제 정착을 위한 방안 368 
제3절 학급경영 369 
1. 학급경영의 여러 관점들 369 
2. 학급경영의 영역 369 
3. 학급경영계획의 수립 370 
4. 학급경영의 평가 370 
제4절 학교경영기법 371 
1. 목표관리기법(MBO, Management By Objectives) 371 
2. 과업평가계획기법(PERT, Program Evaluation and Review Technique) 373 
3. 총체적 질관리(TQM, Total Quality Management) 374 
4. 조직개발기법(OD, Organization Development) 375 
5. 정보관리체제(MIS,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376

상품정보 제공고시
게시판 성격과 다른내용의 글을 등록하실 경우 임의로 삭제처리 될 수 있습니다. 기대평가 입력하기 기대평가 전체보기
★ 게시판 성격과 다른내용의 글을 등록하실 경우 임의로 삭제처리 될 수 있습니다.
★ 개정판의 경우 구판에 관한 후기가 있으므로 작성일을 확인해 주세요.
이용후기 입력하기 이용후기 전체보기
★ 상품문의외 주문시 요청사항은 처리되지 않으며 삭제됩니다. 1:1문의/고객게시판을 이용해 주세요.★ 상품문의 입력하기
배송안내
반품/교환/AS안내
이 상품 관련상품
  • Go세훈 교육학 300 ALPHA 개념중심
    Go세훈 교육학 300 ALPHA 개념중심
    30,000 30,000
    1%
  • 정현 1교시 교육학 마이너 - 가끔 출제되는 영역
    정현 1교시 교육학 마이너 - 가끔 출제되는 영역
    15,000 13,500
    10% 5%
  • 품절
    2023 가공 샐러드 맛 임용 교육학(하)
    2023 가공 샐러드 맛 임용 교육학(하)
    22,000 19,800
    10% 5%
  • 2026 설보연 SANTA 교육학 단권화
    2026 설보연 SANTA 교육학 단권화
    40,000 36,000
    10% 5%
  • 2026학년도 윤중샘 교육학 기출분석
    2026학년도 윤중샘 교육학 기출분석
    27,000 24,300
    10% 5%
  • (2025학년도 중등 임용고시 대비)구평회 마스터 교육학 이론서 2권
    (2025학년도 중등 임용고시 대비)구평회 마스터 교육학 이론서 2권
    25,000 22,500
    10% 5%
  • 2024 WHY TO HOW New 논객특강(전2권)
    2024 WHY TO HOW New 논객특강(전2권)
    38,000 34,200
    10% 1%
  • 품절
    2023 신태식 교육학논술 판서노트
    2023 신태식 교육학논술 판서노트
    14,000 12,600
    10% 5%
제휴카페 B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