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본 상품 (0)
  • 2024 국립외교원 시험대비 국제법사례연습
    2024 국립외교원 시험대비 국제법사례연습
    42,300
  • 7급 객관식 경제학(제8판)
    7급 객관식 경제학(제8판)
    40,500
1/4
2024 국립외교원 시험대비 국제법사례연습
무료배송
2024 국립외교원 시험대비 국제법사례연습
0.0
  • 이용후기
  • 상품문의
  • 정가
    47,000
  • 판매가
    42,300 10%
  • 적립금
    423원 (배송완료시 지급/이용후기 작성시 50원 지급) 1%
  • 배송비
    무료배송(우체국택배)
  • 소득공제
    추가 소득공제 가능 도서(자세히 보기)
  • 혜택
    [2025년 7월] 신용카드 무이자할부 이벤트
    [2025년 7월] 신용카드 무이자할부 이벤트 더보기+

    2025년 7월 카드사 무이자 할부 혜택 안내

    EVENT 01. 카드사 무이자 할부

    기간 카드사 할부적용 금액 할부개월 신청방법 비고
    25.07.01
    ~25.07.31
    현대카드 5만원 이상 2~3개월 별도 신청
    없이 적용
    PG업종만 제공
    롯데카드 2~5개월
    국민카드 2~5개월
    신한카드 2~3개월
    삼성카드 2~3개월
    비씨카드 2~5개월
    우리카드 2~5개월
    NH카드 2~6개월
    하나카드 2~5개월
    광주카드 2~7개월

    EVENT 02. 부분 무이자 할부

    기간 카드사 할부개월 고객부담 면제 비고
    25.07.01
    ~25.07.31
    삼성카드 7개월 1~3회차 잔여회차 면제 별도 신청 없이 적용
    11개월 1~5회차
    23개월 1~10회차
    현대카드 10개월 1~5회차 잔여회차 면제 별도 신청 없이 적용
    12개월 1~6회차
    신한카드 7개월 1~3회차 잔여회차 면제 별도 신청 없이 적용
    9개월 1~4회차
    11개월 1~5회차
    23개월 1~10회차
    국민카드 6개월 1~3회차 잔여회차 면제 별도 신청 없이 적용
    10개월 1~5회차
    하나카드 6개월 1~3회차 잔여회차 면제 별도 신청 없이 적용
    10개월 1~4회차
    12개월 1~5회차
    18개월 1~8회차
    BC카드 10개월 1~4회차 잔여회차 면제 별도 신청 없이 적용
    12개월 1~5회차
    우리카드 10개월 1~4회차 잔여회차 면제 별도 신청 없이 적용
    12개월 1~5회차
    NH카드 7개월~10개월 1~3회차 잔여회차 면제 별도 신청 없이 적용
    12개월 1~4회차
    18개월 1~5회차
    24개월 1~6회차

     ■ 유의사항

    수협BC카드의 경우 BC카드 부분무이자 혜택에서 적용 제외됩니다.

    개인사업자/법인/체크/선불/기프트/하이브리드/토스카드/은행계열카드는 적용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은행계열카드 : 카드 전/후면에 BC마크가 없는 카드 (예. 제주 등)

    BC카드 및 NH농협 카드의 경우 사전 신청 고객에 한하여 금액에 따른 부분 무이자 우대 회차 적용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카드사 홈페이지 혹은 ARS 문의 바랍니다. ( BC : 1899-5772 / NH농협 : 1644-2009 )

    무이자 할부 결제 시 포인트, 마일리지 등 다른 혜택과 중복 적용 되지 않습니다.

    당사 대표 가맹점이 아닌 직계약(자체) 가맹점, 신규 가맹점 등 일부는 적용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PG업종에만 해당하는 무이자로 이 외 업종은 적용 불가 합니다. (제약, 등록금, 도시가스 등)

    하나카드는 PG업종 외 TASF 취급수수료, 환금성(상품권), 학원, 면세점, 보험업종 등의 경우 적용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본 행사는 카드사 사정에 따라 변경 또는 중단될 수 있습니다.

  • 저자
  • 출판사
  • 발행일
    2023-12-05(교재 판권에 표기된 발행일이며 실제 발행일과 다릅니다)
  • 판형
    780p
  • ISBN
    9791158249175
    ?
    ISBN이란?
    국제표준도서번호(International Standard Book Number)로서, 국제적으로 표준화된 방법에 따라 전세계에서 생산되는 도서에 부여된 고유번호를 말합니다.
총 상품금액 0
상세소개

외교관후보자 선발시험을 위한 일반국제법 사례집을 출간하게 되었습니다.
그간 저명한 교수님들의 훌륭한 국제법 기본서는 많이 출간되어 있었으나, 사례형 문제에 대해 참조할 교재는 미흡한 실정이어서 수험생에 다소나마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출간을 기획하였습니다.
본서는,
-과거 외무고시와 현재 외교관후보자 시험, 행정고시, 변호사시험 등에 출제된 사례형 국제법 문제의 해설과,
-최근 국제법의 주요 논점에 대한 예상문제를 진도별로 수록하였습니다.
-답안의 분량은 답안지에 기술하기에 적절한 양으로 조절하였으며, 그렇다고 중요부분에 대한 상세한 해설을 생략하지는 않았습니다.
사례형 문제의 절대적은 정답은 없으며, 본서에 기재된 해설 역시 필자의 개인적 생각이지만, 마땅한 기준이 존재하지 않는 수험가의 현실에서 합격의 최소한을 보장해 주는 자료가 되리라 기대합니다.
본서로 공부하시는 수험생께서는 우선 문제를 정확히 읽고 본인이 생각하는 목차를 구성해 보신 후 교재의 목차와 비교하여 개선해 가신다면, 국제법 사례문제를 대하는 실력이 발전됨을 느끼실 수 있을 것입니다.
본서로 공부하여 좋은 성적을 얻었다는 많은 합격생들의 격려로 출간하게 되었지만, 아직 미흡하고 부끄러운 수준의 교재이며, 좀 더 충실한 교재가 되도록 계속 노력할 것임을 약속드립니다.
교재가 출간되도록 애써주신 학연 출판사 관계자 모든 분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2023. 11. 저자 이종훈

목차
제1장 국제공동체의 역사적 전개과정  1 
제2장 국제법의 연원  2 
2-1. 현대 관습국제법 형성의 특징  2 
2-2. 관습의 성립요건  6 
2-3. 조약의 내용이 관습이 되기 위한 요건  10 
2-4. 북해대륙붕사건에서의 쟁점  13 
2-5. 총회결의의 관습 성립요건과 집요한 불복이론  17 
2-6. 일반관습과 지역관습의 성립과 효력에서의 차이  21 
2-7. 조약의 정의와 신사협정과의 구별  24 
2-8. 조약과 신사협정의 구별  28 
2-9. 국제기구결의의 국제법 법원성  31 
2-10. 국가의 일방적 행위  34 
2-11. 일방적 약속에 따른 의무발생의 요건과 한계  38 
2-12. 법원 개념의 재검토  43 
제3장 일반국제법의 강행규범  48 
3-1. 강행규범의 의의  48 
3-2. 강행규범과 UN헌장 하의 의무와의 관계  54 
제4장 조약법  56 
4-1. 서명국의 의무, 일방적 선언을 통한 국제의무의 창설  56 
4-2. 유보의 허용성, 유보의 효과  60 
4-3. 유보의 방법과 양립성의 판단  65 
4-4. 유보와 해석선언 / 허용되지 않는 유보의 효과  69 
4-5. 조약의 제3자적 효력  74 
4-6. 구조약과 신조약·개정조약의 관계  77 
4-7. 무권한자 조약체결, 조약의 무효사유  80 
4-8. 조약의 무효사유 / 신·구조약의 관계  83 
4-9. 조약의 무효 / 조약 충돌시의 효과  88 
4-10. 강행규범에 반하는 조약의 무효  93 
4-11. 착오에 의한 조약의 무효  96 
4-12. 조약의 제3자적 효력, 조약의 무효  98 
4-13. 조약의 무효와 가분성의 법칙  101 
4-14. 강행규범에 위반한 조약의 효력  105 
4-15. 조약의 무효와 종료  110 
4-16. 조약의 종료 사유  113 
4-17. 서명국의 의무, 조약의 개정  119 
4-18. 조약의 변경(수정)  123 
4-19. 조약의 해석원칙  125 
4-20. 조약의 보충적 해석   128 
제5장 국제법과 국내법의 관계  131 
5-1. 조약의 해석과 직접효력성  131 
5-2. 인권조약의 직접효력성 / 인권조약에서 탈퇴  136 
5-3. 조약의 자기집행성  139 
5-4. 국제법의 국내적 지위  142 
5-5. 국제기구 결의의 국내적 효력  146 
제6장 국제법의 주체  150 
6-1. 분리 독립의 허용성 / 국가의 성립요건   150 
6-2. UN의 국제적 법인격   155 
6-3. 민족해방운동단체   158 
6-4. 민족자결권과 테러의 구별  162 
제7장 국제법의 기본원칙  166 
7-1. 국제법의 제원칙  166 
7-2. 무력사용금지원칙  171 
제8장 국가 및 정부 승인  175 
8-1. 국가승인  175 
8-2. 국가승인의 국내적 효과  179 
8-3. 정부승인과 국내문제 불간섭의무  182 
8-4. 북한의 지위와 한반도 평화협정의 문제점  185 
제9장 국가관할권  189 
9-1. 역외입법관할권의 근거  189 
9-2. 불법체포·납치에 따른 재판관할권  192 
9-3. 역외 형사관할권의 근거 / 일사부재리  196 
9-4. 국가의 관할권 행사의 근거  200 
9-5. 인도 아니면 소추 원칙  202 
9-6. 용의자 부재 보편관할권  207 
9-7. 공정거래법의 역외적용과 역외집행  210 
9-8. 정치범 불인도 원칙  213 
9-9. 범죄인 인도의 제문제  217 
제10장 국가면제  222 
10-1. 상업적 계약과 국가면제  222 
10-2. 고용계약과 국가면제  226 
10-3. 불법행위 예외  229 
10-4. 강행규범위반과 국가면제  232 
10-5. 강행규범 위반과 국가면제  236 
10-6. 강제집행에서의 면제  240 
10-7. 재판관할권 면제와 강제집행 면제  243 
제11장 국가행위이론  248 
11-1. 국가행위이론  248 
제12장 외교면제 및 특권  251 
12-1. 국가면제와 외교면제  251 
12-2. 국가면제 / 외교면제  256 
12-3. 외교공관의 불가침성  259 
12-4. 외교공관의 불가침성과 외교적 비호권  263 
12-5. 외교공관의 존중 보호의무  266 
12-6. 외교사절의 불가침과 면제  269 
12-7. 외교면제  273 
제13장 기타 면제  277 
13-1. 외교면제와 영사면제의 비교  277 
13-2. 영사의 특권·면제와 대항조치의 한계  283 
13-3. 영사원조  287 
13-4. 국제기구에 파견한 대표와 국제기구 직원의 특권·면제  291 
제14장 국가책임  296 
14-1. 외교면제의 시기, 행위의 국가귀속성, 불법행위 예외  296 
14-2. 개인의 행위와 지시 또는 통제, 지시위반의 국가책임  300 
14-3. 공권력 부재 또는 흠결 시에 수행된 행위  303 
14-4. 국가책임의 성립요건  305 
14-5. 타국에 대한 강제국의 책임  309 
14-6. 국가책임, 위법성 조각사유, 원조국의 책임  311 
14-7. 국가책임의 성립요건, 해제방법, 대응조치의 한계  317 
14-8. 사죄의 방법, 불가항력  323 
14-9. 국가책임과 위법성 조각사유 / 피해국 판정   327 
14-10. 불가항력과 대항조치의 한계  331 
14-11. 긴급피난과 대항조치  334 
14-12. 피해국 이외의 국가에 의한 책임추궁  338 
14-13. 외교적 보호권의 성질과 개인청구권의 포기가부  340 
14-14. 법인에 대한 외교적 보호권  348 
14-15. 조약위반에 대한 책임  352 
14-16. 국제기구의 국제책임  357 
제15장 국 적  361 
15-1. 국적의 부여   361 
제16장 외국인의 대우  363 
16-1. 외국인의 지위  363 
16-2. 국유화의 적법요건, 회사와 주주 국적국의 외교적보호권  367 
16-3. 국가계약 위반과 국가책임  371 
제17장 국제인권법  375 
17-1. 헌장의 인권보호체계 / A규약과 B규약의 차이점  375 
17-2. 개인통보의 제문제  380 
17-3. 개인의 국가고발제도  384 
제18장 국제난민법  389 
18-1. 난민의 요건과 보호  389 
18-2. 난민의 요건과 탈북자의 지위  393 
18-3. 난민의 의의와 강제송환 금지원칙  396 
제19장 영토의 취득  400 
19-1. 현상유지 원칙  400 
19-2. 상대적 권원  403 
19-3. 인류공동유산  408 
19-4. 남극의 법적지위  410 
제20장 국가승계  413 
20-1. 처분적 조약의 승계와 조약의 가분성  413 
20-2. 무력에 의한 영토병합  416 
20-3. 병합시 조약의 승계  421 
제21장 해 양 법  424 
21-1. 직선기선의 설정요건  424 
21-2. 범죄인 인도의 연원, 영해에서의 형사관할권  428 
21-3. 해협에서 군함의 통항방법  431 
21-4. EEZ내 관할권  435 
21-5. EEZ에서의 관할권과 해적행위  438 
21-6. 대륙붕의 정의와 대륙붕한계위원회와 국제재판소의 관계  443 
21-7. CLCS권고의 제3국에 대한 구속력 여부  448 
21-8. 배타적 경제수역과 대륙붕경계획정 원칙  452 
21-9. 임검권과 추적권  457 
21-10. EEZ관할권, 공해상 선박충돌 관할권, 추적권의 적법요건  461 
21-11. 임검권과 PSI체제  465 
21-12. 섬, 암석, 간조노출지의 지위  469 
21-13. 독도의 해양법상 지위  473 
21-14. 해양법상 강제절차의 전제절차  478 
21-15. 해양법협약의 분쟁해결 절차  481 
21-16. 영유권 주장과 분쟁해결절차  486 
21-17. 인공섬 건설의 적법요건  490 
제22장 영 공 법  492 
22-1. 방공식별구역  492 
22-2. 민간항공기의 영공침범에 대한 대응  495 
22-3. 항공기 납치와 정치적 비호  499 
22-4. 항공범죄와 안보리 결의의 구속력  502 
제23장 국제우주법  505 
23-1. 외기권의 비군사화와 우주활동에 대한 책임  505 
제24장 국제환경법  509 
24-1. 환경법의 기본원칙  509 
24-2. 파리기후변화 협약  512 
24-3. 환경손해를 야기하지 않을 책임  516 
24-4. 국제환경법의 이행확보 방안  519 
24-5. 환경보호와 통상규제  522 
제25장 국제연합(UN)  527 
25-1. UN의 당사국  527 
25-2. 총회와 안보리의 권한관계  531 
제26장 분쟁의 평화적 해결수단  534 
26-1. 국제사법재판소의 관할권의 성립  534 
26-2. 국제사법재판소의 관할권 성립  539 
26-3. 선택조항 수락과 유보의 문제  542 
26-4. 확대관할권의 성립  548 
26-5. 선결적 항변의 제문제  551 
26-6. 선결적 항변과 가보전조치  555 
26-7. 잠정조치의 요건과 법적 구속력  561 
26-8. 잠정조치 요건, 선결적 항변  565 
제27장 국제사회에서의 무력사용  570 
27-1. 국가의 무력사용  570 
27-2. 무력에 의한 영토병합의 위법성  575 
27-3. 소위 예방적 자위권의 인정여부  579 
27-4. 자위권의 즉각성 문제  583 
27-5. 부대급 자위권의 적법성 여부  586 
27-6. 간접침략과 집단적 자위권  589 
27-7. 자국민 보호를 위한 무력행사  593 
27-8. 인도적 간섭과 보호책임  597 
27-9. 테러에 대한 국제법의 제문제  602 
27-10. 자위권, 피해국 이외의 국가에 의한 책임추궁  606 
제28장 전 쟁 법  611 
28-1. 국제인도법과 국제인권법의 관계  611 
28-2. 핵실험에 대한 국제법 / UN의 강제조치 발동  613 
제29장 국제형사재판소  618 
29-1. 물적·인적관할권, 재판적격성  618 
29-2. 헌장 7장상 조치, 인도에 반하는 죄, ICC 관할권  623 
29-3. 국제형사재판소의 관할권 성립  629 
29-4. 국제형사재판소와 국제사법재판소의 관할권 성립  633 
29-5. 상급자 항변과 상급자 책임  636 
제30장 국제경제법  639 
30-1. 위반제소와 비위반제소의 비교  639 
30-2. 합리적 이행기간과 보복조치  643 
30-3. WTO 분쟁해결절차의 문제점  646 
30-4. 동종상품의 판단기준  651 
30-5. 최혜국대우원칙  657 
30-6. GATT 제3조 2항  662 
30-7. GATT 제3조 4항  667 
30-8. GATT 제11조  672 
30-9. GATT 제20조  677 
30-10. 비차별원칙과 일반적 예외  687 
30-11. 비차별원칙과 일반적 예외  692 
30-12. GATT 제3조 2항과 일반적 예외  698 
30-13. GATT 제3조 4항과 일반적 예외  702 
30-14. GATT 제11조, 제3조 4항과 일반적 예외  706 
30-15. GATT 제20조 d호의 일반적 예외 / MFN 예외  711 
30-16. GATT 제11조와 일반적 예외  716 
30-17. 자유무역원칙과 일반적 예외  720 
30-18. 관세양허의무  724 
30-19. 안보상 예외  728 
30-20. 국경세조정의 문제  733 
30-21. 국경세 조정  738 
30-22. 위생 및 검역협정의 제문제  741 
30-23. TBT협정과 GATT상의 의무위반  746 
30-24. 보조금의 구성요건  751 
30-25. 보조금의 구성요건과 구제조치  757 
30-26. 긴급수입제한조치  764 
30-27. 덤핑의 의의와 조사절차  770

상품정보 제공고시
게시판 성격과 다른내용의 글을 등록하실 경우 임의로 삭제처리 될 수 있습니다. 기대평가 입력하기 기대평가 전체보기
★ 게시판 성격과 다른내용의 글을 등록하실 경우 임의로 삭제처리 될 수 있습니다.
★ 개정판의 경우 구판에 관한 후기가 있으므로 작성일을 확인해 주세요.
이용후기 입력하기 이용후기 전체보기
★ 상품문의외 주문시 요청사항은 처리되지 않으며 삭제됩니다. 1:1문의/고객게시판을 이용해 주세요.★ 상품문의 입력하기
배송안내
반품/교환/AS안내
이 상품 관련상품
  • 품절
    2022 부동산등기법 뿌리와 열매(용어해설+법령+등기예규+기록례)
    2022 부동산등기법 뿌리와 열매(용어해설+법령+등기예규+기록례)
    30,000 27,000
    10% 1%
  • 2023 PSAT 전진명 상황판단 기출연계 190제
    2023 PSAT 전진명 상황판단 기출연계 190제
    22,000 19,800
    10% 5%
  • 선동주.김강노 헌법집중 Keynote(제3판)
    선동주.김강노 헌법집중 Keynote(제3판)
    13,000 12,610
    3% 1%
  • 2025 법원시행시험 제2차 기출문제해설 오영관 논술 부동산등기법
    2025 법원시행시험 제2차 기출문제해설 오영관 논술 부동산등기법
    45,000 40,500
    10% 1%
  • 박효근의 주관식 민사소송법 핵심 요약노트(법무사.법원행시.변호사 시험대비)
    박효근의 주관식 민사소송법 핵심 요약노트(법무사.법원행시.변호사 시험대비)
    20,000 18,000
    10% 1%
  • 김우진 논리 추론 : 개념과 문제해결
    김우진 논리 추론 : 개념과 문제해결
    25,000 23,750
    5% 1%
  • 2025 헌법의 정리
    2025 헌법의 정리
    46,000 41,400
    10% 1%
  • 2025 오영관 부동산등기 예규집(제18판)
    2025 오영관 부동산등기 예규집(제18판)
    40,000 36,000
    10% 1%
제휴카페 B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