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편 행정법통론 
제1장  행 정  2 
제1절 행정의 의의  2 
제2절 통치행위  2 
제2장  행정법  9 
제1절 행정법의 의의  9 
제2절 법치행정의 원칙  10 
제3절 행정법의 법원  16 
제3장  행정상 법률관계  37 
제1절 의 의  37 
제2절 공법관계와 사법관계의 구별  37 
제3절 행정상 법률관계의 종류  42 
제4절 행정법관계에 대한 사법규정의 적용  46 
제5절 행정법관계의 당사자  50 
제6절 행정법관계의 내용  55 
제7절 특별권력관계  67 
제8절 행정법상의 법률요건과 법률사실  72 
 
제2편 행정작용법 
제1장  행정입법  84 
제1절 서 설  84 
제2절 법규명령  85 
제3절 행정규칙  97 
제4절 법규명령형식의 행정규칙, 행정규칙형식의 법규명령  102 
제2장  행정행위  108 
제1절 행정행위의 개념  108 
제2절 일반처분  111 
제3절 행정행위의 종류  114 
제4절 행정행위의 내용  127 
제5절 행정행위의 부관  142 
제6절 행정행위의 적법요건 및 효력요건  152 
제7절 행정행위의 효력  153 
제8절 행정행위의 하자  166 
제9절 행정행위의 직권취소  181 
제10절 행정행위의 철회  188 
제3장  그 밖의 행정의 주요 행위형식  193 
제1절 확 약  193 
제2절 행정계획  197 
제3절 공법상 계약  207 
제4절 행정상 사실행위  212 
제5절 행정지도  216 
제6절 행정의 자동결정  221 
 
제3편 행정절차, 정보공개 
제1장  행정절차  226 
제1절 서 설  226 
제2절 행정절차법상 처분절차  227 
제3절 행정절차의 하자  249 
제2장  행정정보공개  254 
제1절 서 설  254 
제2절 정보공개청구권  254 
 
제4편 행정의 실효성확보수단 
제1장  서 설  270 
제2장  행정상 강제  272 
제1절 개 관  272 
제2절 행정상 강제집행  273 
제3절 행정상 즉시강제  289 
제4절 행정조사  296 
제3장  행정벌  304 
제1절 서 설  304 
제2절 행정형벌  305 
제3절 행정질서벌  310 
제4절 행정형벌과 행정질서벌의 비교  314 
제4장  행정의 실효성확보를 위한 새로운 수단  318 
제1절 과징금  318 
제2절 공급거부  323 
제3절 위반사실의 공표  325 
 
제5편 행정구제법 
제1장  행정구제법의 개관  332 
제2장  행정상 손해배상  334 
제1절 서 설  334 
제2절 공무원의 직무상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  336 
제3절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자동차손해배상책임  359 
제4절 영조물의 설치・관리상의 하자로 인한 손해배상  363 
제5절 국가배상책임자  370 
제3장  행정상 손실보상  375 
제4장  행정상 손해전보제도의 흠결과 그 보완  383 
제1절 수용유사침해이론  383 
제2절 수용적 침해이론  386 
제3절 희생보상청구권  388 
제4절 결과제거청구권  391 
제5장  행정심판  395 
제1절 서 설  395 
제2절 의무이행심판  397 
제3절 행정심판법상 고지제도  402 
제6장  행정소송  407 
제1절 서 설  407 
제2절 행정소송의 한계  407 
제3절 취소소송  414 
제1관 서설  414 
제2관 취소소송의 소송요건  414 
제3관 취소소송제기의 효과  441 
제4관 취소소송의 심리  448 
제5관 취소소송의 판결  452 
제6관 판결의 효력  455 
제4절 무효등확인소송  466 
제5절 부작위위법확인소송  472 
제6절 행정청의 부작위에 대한 구제방법  478 
 
제6편 경찰행정법 
제1장  경찰의 개념  484 
제2장  경찰권발동의 근거와 한계  486 
제1절 경찰권발동의 근거  486 
제2절 경찰권발동의 한계  490 
제3절 경찰책임의 원칙  493 
제3장  경찰관직무집행법상 경찰권의 발동  501 
제1절 개 설  501 
제2절 불심검문  501 
제3절 무기사용  506 
 
부록 경찰행정법 기출현황   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