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본 상품 (0)
  • 허경미 경찰학(제13판)
    허경미 경찰학(제13판)
    33,000
  • 2024 EBS 공시 사회복지학 기출.예상문제집
    2024 EBS 공시 사회복지학 기출.예상문제집
    21,600
1/3
허경미 경찰학(제13판)
무료배송
허경미 경찰학(제13판)
0.0
  • 이용후기
  • 상품문의
* 재고 상황에 따라 발송이 1~2일 지연 될 수 있습니다.
  • 정가
    33,000
  • 판매가
    33,000
  • 적립금
    330원 (배송완료시 지급/이용후기 작성시 50원 지급) 1%
  • 배송비
    무료배송(우체국택배)
  • 소득공제
    추가 소득공제 가능 도서(자세히 보기)
  • 혜택
    [2025년 7월] 신용카드 무이자할부 이벤트
    [2025년 7월] 신용카드 무이자할부 이벤트 더보기+

    2025년 7월 카드사 무이자 할부 혜택 안내

    EVENT 01. 카드사 무이자 할부

    기간 카드사 할부적용 금액 할부개월 신청방법 비고
    25.07.01
    ~25.07.31
    현대카드 5만원 이상 2~3개월 별도 신청
    없이 적용
    PG업종만 제공
    롯데카드 2~5개월
    국민카드 2~5개월
    신한카드 2~3개월
    삼성카드 2~3개월
    비씨카드 2~5개월
    우리카드 2~5개월
    NH카드 2~6개월
    하나카드 2~5개월
    광주카드 2~7개월

    EVENT 02. 부분 무이자 할부

    기간 카드사 할부개월 고객부담 면제 비고
    25.07.01
    ~25.07.31
    삼성카드 7개월 1~3회차 잔여회차 면제 별도 신청 없이 적용
    11개월 1~5회차
    23개월 1~10회차
    현대카드 10개월 1~5회차 잔여회차 면제 별도 신청 없이 적용
    12개월 1~6회차
    신한카드 7개월 1~3회차 잔여회차 면제 별도 신청 없이 적용
    9개월 1~4회차
    11개월 1~5회차
    23개월 1~10회차
    국민카드 6개월 1~3회차 잔여회차 면제 별도 신청 없이 적용
    10개월 1~5회차
    하나카드 6개월 1~3회차 잔여회차 면제 별도 신청 없이 적용
    10개월 1~4회차
    12개월 1~5회차
    18개월 1~8회차
    BC카드 10개월 1~4회차 잔여회차 면제 별도 신청 없이 적용
    12개월 1~5회차
    우리카드 10개월 1~4회차 잔여회차 면제 별도 신청 없이 적용
    12개월 1~5회차
    NH카드 7개월~10개월 1~3회차 잔여회차 면제 별도 신청 없이 적용
    12개월 1~4회차
    18개월 1~5회차
    24개월 1~6회차

     ■ 유의사항

    수협BC카드의 경우 BC카드 부분무이자 혜택에서 적용 제외됩니다.

    개인사업자/법인/체크/선불/기프트/하이브리드/토스카드/은행계열카드는 적용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은행계열카드 : 카드 전/후면에 BC마크가 없는 카드 (예. 제주 등)

    BC카드 및 NH농협 카드의 경우 사전 신청 고객에 한하여 금액에 따른 부분 무이자 우대 회차 적용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카드사 홈페이지 혹은 ARS 문의 바랍니다. ( BC : 1899-5772 / NH농협 : 1644-2009 )

    무이자 할부 결제 시 포인트, 마일리지 등 다른 혜택과 중복 적용 되지 않습니다.

    당사 대표 가맹점이 아닌 직계약(자체) 가맹점, 신규 가맹점 등 일부는 적용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PG업종에만 해당하는 무이자로 이 외 업종은 적용 불가 합니다. (제약, 등록금, 도시가스 등)

    하나카드는 PG업종 외 TASF 취급수수료, 환금성(상품권), 학원, 면세점, 보험업종 등의 경우 적용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본 행사는 카드사 사정에 따라 변경 또는 중단될 수 있습니다.

  • 저자
  • 출판사
  • 발행일
    2025-01-20(교재 판권에 표기된 발행일이며 실제 발행일과 다릅니다)
  • 판형
    700p
  • ISBN
    9791130322018
    ?
    ISBN이란?
    국제표준도서번호(International Standard Book Number)로서, 국제적으로 표준화된 방법에 따라 전세계에서 생산되는 도서에 부여된 고유번호를 말합니다.
총 상품금액 0
상세소개

2025년 1월 경찰학 제13판을 출간한다. 올해에는 대한민국 국민 모두의 일상이 평온해지길 기원한다. 그리고 그 가운데 진정하게 경찰이 함께할 것을 소망한다.
경찰학 제13판의 주요 개정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경찰공무원의 채용제도와 관련한 변화, 즉 순환식체력검사와 경찰면접시험 등의 전면적인 도입, 경찰간부후보생채용이라는 용어를 삭제하고 경위신규공개채용시험으로의 변경 등이 2025년 1월 1일부터 이루어진다. 이와 관련 경찰공무원 임용령과 그 시행규칙 등의 규정을 빠짐없이 기술하였다. 경찰공무원 채용시험을 준비하는 수험생들은 특히 눈여겨 볼 내용이라 할 것이다.
둘째, 경찰은 열정적으로 성실하게 근무를 잘하는 경찰관에게 승진 기회를 우선적으로 부여한다는 취지로 경찰승진 제도의 대대적인 개편 작업을 계속 진행하고 있다. 심사승진과 시험승진 비율 조정의 본격적인 시행, 업무 유공자 특별승진 비중의 확대, 경정 계급 특별승진제도(3%) 등에 대한 내용을 상세하게 서술하였다. 승진을 준비하는 경정 이하 경찰공무원들은 특히 더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셋째, 경찰은 교육제도를 전면적으로 개편하여 2025년 3월 11일부터 시행하고자 경찰공무원 교육훈련규정(대통령령 제35051호)를 전부개정하였다. 주요 골자는 경찰청장의 교육훈련계획과 경찰교육기관장의 교육대상자 선발, 학교 교육의 평가 등 수료요건, 퇴교처분 대상자의 명확화, 경찰청장의 위탁교육 대상자 선발, 지도·감독, 복귀명령, 위탁교육생의 복무의무, 의무위반 시 제재 등이다. 이에 대하여 제4편 제1장에서 구체적으로 기술하였다. 경찰교육의 체계화와 내실화를 강화한 것으로 보이며, 경찰 채용 및 승진시험을 준비하는 수험생들 모두 눈여겨 볼 내용이라 할 것이다.
넷째, 경찰공무원의 의무, 경찰공무원의 통제 및 경찰관 직무집행법 등을 설명하면서 헌법재판소와 대법원의 판결을 가능한 가장 최신의 판례 또는 가장 싱징적인 판례들로 교체하여 관련 내용의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경찰학을 연구하고 강의하는 교수진의 경우 연구 내용을 체계화하고 학생들의 이해를 돕는데 참고할 수 있다. 이 부분은 경찰 채용시험과 승진시험에서도 출제 빈도가 매우 높다.
다섯째, 외국 경찰제도의 변화에 대하여 가능한 최신의 자료와 정보를 찾아 제6편에서 보완 기술하였다. 영국은 2024년 5월부터 경찰채용시스템을 표준화하여 이른바 역량 및 가치체계(Competency and Values ​​Framework: CVF)를 도입하였다. 이를 통해 경찰순경입직프로그램(Police Constable Entry Program: PCEP)과 경찰순경학위견습제(Police Constable Degree Apprenticeship: PCDA)가 도입되어 잉글랜드와 웨일즈 경찰이 모두 시행하고 있다. 프랑스는 파리시 자치경찰을 대대적으로 확충하여 모두 10개 자치경찰서를 두고 운영하고 있으며, 일본은 지역경찰인 기존 파출소 대신 교번(交番)을 전면 배치하고 있고, 여성경찰공무원의 비중을 늘려가는 등 변화를 보인다.
다섯째, 경찰학 제13판은 가능한 가장 최신의 경찰조직, 경찰공무원, 경찰작용 및 외국의 경찰제도와 관련한 법령과 통계자료, 정책, 판례 등을 소개, 인용하고, 설명하고자 노력하였다. 또한 외국제도의 경우 해당 정부와 기관의 공식적인 발간자료와 통계 등을 활용함으로써 자료의 신뢰성을 담보하였다.
모쪼록 경찰학 제13판이 대학에서 경찰학을 전공하는 경찰학도, 2025년도 경찰공무원 채용시험을 준비하는 수험생, 승진시험을 준비하는 현직 경찰공무원 그리고 경찰학을 연구하고 강의하는 교수진 등 모두에게 필요한 정보와 지식을 제공하고, 역량을 강화하는 귀중한 지침서가 되길 바란다.


.... 늘 응원해 주는 가족과 독자 여러분에게..... 아름다운 꽃 스위트 알리섬(Sweet Alyssum) 한 바구니를 마음으로 전한다.


계명대학교 쉐턱관에서
2025년 1월에 저자 허 경 미

목차
제1편  경찰학과 경찰 
제1장 경찰학의 기초 
제1절 경찰의 개념 3 
Ⅰ. 대륙법계 국가의 경찰개념  3 Ⅱ. 영미법계 국가의 경찰개념  6 
Ⅲ. 한국의 경찰개념  6 
제2절 경찰학의 의의와 연구방법 7 
Ⅰ. 경찰학의 의의  7  Ⅱ. 경찰학의 연구범위 및 방법  12 
제3절 경찰의 목적과 분류 13 
Ⅰ. 경찰의 목적  13  Ⅱ. 경찰의 분류  14 
제2장 경찰행정의 기본이념 및 수단 
제1절 경찰행정의 기본이념 24 
Ⅰ. 민주주의  24  Ⅱ. 인권보호주의  25 
Ⅲ. 법치주의  27  Ⅳ. 정치적 중립주의  28 
Ⅴ. 효율성주의  28  Ⅵ. 집권주의 및 분권주의  30 
제2절 경찰행정의 수단 31 
Ⅰ. 일반경찰의 수단  31 Ⅱ. 사법경찰의 수단  32 
 
 
제2편  한국경찰의 역사와 제도 변화 
제1장 갑오경장 이전의 경찰 
제1절 부족국가시대 및 삼국시대의 경찰 37 
Ⅰ. 부족국가시대의 경찰  37 Ⅱ. 삼국시대의 경찰  39 
제2절 고려시대 및 조선시대의 경찰 40 
Ⅰ. 고려시대의 경찰  40 Ⅱ. 조선시대의 경찰  42 
제2장 갑오경장부터 해방까지의 경찰 
제1절 근대경찰의 출발 45 
Ⅰ. 경무청 창설  45 
Ⅱ. 경찰사무의 강탈과 일본헌병의 주둔  46 
제2절 일제 문관경찰시대의 경찰 48 
Ⅰ. 보통경찰로의 전환  48 
Ⅱ. 일반경찰 및 협의의 행정경찰의 비분리  48 
제3장 임시정부시대의 경찰 
제1절 1919년 4월 11일 상해 임시정부시대의 경찰 50 
Ⅰ. 경무국 창설  50  Ⅱ. 경무국의 사무  51 
제2절 1919년 9월 통합 임시정부시대의 경찰 52 
Ⅰ. 경무국  52  Ⅱ. 지방 경찰조직: 임시연통제  57 
Ⅲ. 해외 경찰조직  59 
제3절 중경 임시정부시대의 경찰 61 
Ⅰ. 경무과  61  Ⅱ. 경위대  63 
제4장 경찰 창설부터 2024년까지의 경찰 
제1절 경찰법 제정 이전의 경찰 64 
Ⅰ. 미 군정기의 경찰  64 
Ⅱ. 치안국 및 치안본부 시대의 경찰  65 
제2절 경찰청 시대의 경찰 66 
Ⅰ. 경찰법의 제정  66  Ⅱ. 경찰청의 출범~2019년  66 
Ⅲ. 수사권 조정~2020년의 경찰  68 
제3절 국가경찰과 자치경찰시대의 경찰 68 
Ⅰ. 2021년의 경찰  68 
Ⅱ. 2022년의 경찰: 행정안전부의 경찰국 설치  71 
Ⅲ. 2023년의 경찰: 경찰조직 재편  72 
Ⅳ. 2024년의 경찰: 대공수사권을 이관받다  74 
 
 
제3편  경찰조직관리: 경찰기관과 권한 
제1장 경찰기관 
제1절 보통경찰기관 77 
Ⅰ. 국가경찰: 의결기관: 국가경찰위원회  77 
Ⅱ. 국가경찰: 경찰관청  81 
Ⅲ. 자치경찰: 경찰관청: 시·도자치경찰위원회  90 
Ⅳ. 보통경찰집행기관  97 
제2절 특별경찰기관 98 
Ⅰ. 특별경찰행정관청  98 Ⅱ. 특별경찰집행기관  99 
Ⅲ. 특별사법경찰집행기관  103 
제3절 비상경찰기관 107 
제2장 경찰기관의 권한 
제1절 경찰기관의 권한 110 
Ⅰ. 사물권한  110  Ⅱ. 인적권한  111 
Ⅲ. 지역권한  112 
제2절 경찰기관 상호간 권한행사 유형 117 
Ⅰ. 권한의 감독  117  Ⅱ. 권한의 대행  120 
제3절 대등기관간 권한행사 129 
Ⅰ. 상호존중관계  129  Ⅱ. 상호협력관계  129 
 
 
제4편  경찰인사관리: 경찰공무원 
제1장 경찰공무원의 분류와 임용 
제1절 경찰공무원의 분류 135 
Ⅰ. 계급제  136  Ⅱ. 직위분류제  136 
제2절 경찰공무원의 임용 137 
Ⅰ. 임용의 의의 및 임용권자  137 
Ⅱ. 경찰공무원관계의 형성  140 Ⅲ. 경찰공무원관계의 변경  165 
Ⅳ. 경찰공무원관계의 소멸  177 Ⅴ. 경찰공무원의 교육  181 
제2장 경찰공무원의 권리 및 의무 
제1절 경찰공무원의 권리 199 
Ⅰ. 신분상 권리  199  Ⅱ. 재산상 권리  206 
제2절 경찰공무원의 의무 208 
Ⅰ. 신분상 의무  208  Ⅱ. 직무상 의무  218 
제3장 경찰공무원의 통제 
제1절 징계책임 224 
Ⅰ. 의   의  224  Ⅱ. 징계벌과 형벌의 구별  224 
Ⅲ. 징계사유  225  Ⅳ. 징계의 종류 및 효력  225 
Ⅴ. 징계권자  226  Ⅵ. 징계위원회  227 
Ⅶ. 징계절차  230  Ⅷ. 징계에 대한 구제  234 
제2절 배상책임 234 
Ⅰ. 국가배상법상 배상책임  234 
Ⅱ. 회계관계직원 등의 책임에 관한 법률상 배상책임  238 
제3절  형사상 책임 239 
제4절  민사상 책임 240 
 
 
제5편  경찰행정법 
제1장 경찰행정법의 법원 및 일반원칙 
제1절 성문법원 245 
Ⅰ. 헌   법  245  Ⅱ. 법   률  246 
Ⅲ. 조약·국제법규  247 Ⅳ. 행정입법  247 
Ⅴ. 자치법규  248 
제2절 불문법원 248 
Ⅰ. 관습법  248  Ⅱ. 판례법  249 
Ⅲ. 조   리  251 
제3절 경찰행정법 작용의 일반원칙 251 
Ⅰ. 경찰소극목적의 원칙  251 Ⅱ. 경찰공공의 원칙  252 
Ⅲ. 경찰책임의 원칙  253 Ⅳ. 경찰평등의 원칙  258 
Ⅴ. 경찰비례의 원칙  259 Ⅵ. 신뢰보호의 원칙  262 
Ⅶ. 부당결부금지의 원칙  263 
Ⅷ. 경찰재량 영으로의 수축 원칙  264 
Ⅸ. 한계일탈의 효과와 구제  266 
제2장 경찰행정의 형태 
제1절 경찰하명 267 
Ⅰ. 의   의  267  Ⅱ. 경찰하명의 형식  267 
Ⅲ. 경찰하명의 종류  268 Ⅳ. 경찰하명의 효과 및 범위  269 
Ⅴ. 경찰하명 위반에 대한 제재  269 
Ⅵ. 경찰하명의 하자 및 구제  269 
제2절 경찰허가 270 
Ⅰ. 의   의  270  Ⅱ. 경찰허가의 형식 및 요건  271 
Ⅲ. 경찰허가의 종류  271 Ⅳ. 경찰허가의 효과 및 한계  272 
Ⅴ. 경찰허가의 하자 및 소멸  272 
제3절 경찰상 사실행위 273 
Ⅰ. 의   의  273 
Ⅱ. 경찰상 사실행위의 종류  273 
Ⅲ. 경찰상 사실행위의 법적 근거 및 한계  274 
Ⅳ. 권리구제  274 
제4절 경찰행정의 자동기계결정과 전자문서행위 275 
Ⅰ. 자동기계결정행위  275 
Ⅱ. 전자문서행위  276 
제3장 경찰행정상 의무이행확보수단 
제1절 경찰행정상 강제집행 278 
Ⅰ. 경찰행정상 강제집행의 의의  278 
Ⅱ. 경찰행정상 강제집행의 성질  278 
Ⅲ. 경찰행정상 강제집행의 근거  279 
Ⅳ. 경찰행정상 강제집행의 수단  279 
제2절 경찰행정상 즉시강제 281 
Ⅰ. 경찰행정상 즉시강제의 의의  281 
Ⅱ. 경찰행정상 즉시강제의 성질  281 
Ⅲ. 경찰행정상 즉시강제의 근거  281 
Ⅳ. 경찰행정상 즉시강제의 종류  282 
Ⅴ. 경찰행정상 즉시강제의 한계  283 
Ⅵ. 경찰행정상 즉시강제에 대한 구제  283 
제3절 경찰벌 284 
Ⅰ. 경찰벌의 의의  284 Ⅱ. 경찰벌의 성질  284 
Ⅲ. 경찰벌의 근거  284 Ⅳ. 경찰벌의 종류  285 
Ⅴ. 형법총칙의 적용 여부  286 Ⅵ. 경찰벌의 과벌절차  287 
Ⅶ. 실효성 강화수단  288 Ⅷ. 경찰벌과 구제  288 
제4절 경찰조사 289 
Ⅰ. 경찰조사의 의의  289 Ⅱ. 경찰조사의 성질  289 
Ⅲ. 경찰조사의 근거  290 Ⅳ. 경찰조사의 종류  290 
Ⅴ. 경찰조사의 한계  291 Ⅵ. 경찰조사에 대한 구제  292 
Ⅶ. 경찰조사와 개인정보권  292 
제5절 의무이행의 새로운 확보수단 292 
Ⅰ. 금전적 제재  293  Ⅱ. 비금전적 제재  293 
제4장 경찰관 직무집행법 
제1절 경찰관 직무집행법의 제정배경 및 성질 297 
Ⅰ. 제정배경  297  Ⅱ. 경찰권의 수권 분류  298 
Ⅲ. 표준처분 및 영장주의의 예외  300 
Ⅳ. 시민의 손해 또는 손실 구제  300 
Ⅴ. 경찰관의 직무 관련 소송지원  301 
Ⅵ. 경찰관의 직무수행으로 인한 형의 감면  301 
Ⅶ. 범인검거 등 공로자 보상  301 
제2절 불심검문 302 
Ⅰ. 불심검문의 의의  302 Ⅱ. 불심검문의 근거 및 성질  303 
Ⅲ. 불심검문의 대상자  303 Ⅳ. 불심검문의 절차  305 
Ⅴ. 사후조치  307 
제3절 보호조치 308 
Ⅰ. 보호조치의 의의  308 Ⅱ. 보호조치의 대상자  308 
Ⅲ. 보호조치의 방법  309 Ⅳ. 사후조치  311 
제4절 위험발생의 방지 312 
Ⅰ. 위험발생방지의 의의  312 Ⅱ. 일반적 위험방지  313 
Ⅲ. 통행제한 및 출입금지  314 Ⅳ. 사후조치  315 
제5절 범죄의 예방과 제지 316 
Ⅰ. 범죄예방의 의의  316 Ⅱ. 범죄예방의 요건  317 
Ⅲ. 범죄예방의 대상  318 Ⅳ. 범죄예방의 수단  318 
Ⅴ. 사후조치  319 
제6절 위험방지를 위한 출입 319 
Ⅰ. 위험방지를 위한 출입의 의의  319 
Ⅱ. 위험방지를 위한 출입의 유형  320 
Ⅲ. 사후조치  322 
제7절 사실의 확인, 정보의 수집 및 국제협력 323 
Ⅰ. 사실의 확인  323  Ⅱ. 사실확인의 유형  323 
Ⅲ. 사후조치  324 
제8절 유치장 인치 325 
Ⅰ. 유치장의 의의  325 Ⅱ. 신체검사  325 
Ⅲ. 위험물 등의 취급  327 Ⅳ. 유치장 감찰 및 감시  327 
Ⅴ. 사후조치  328 
제9절 경찰장비(물리력)의 사용 328 
Ⅰ. 경찰장비의 의의  328  
Ⅱ. 경찰장비의 종류 및 사용원칙  329 
Ⅲ. 경찰장비의 사용방법  332 Ⅳ. 사후조치  346 
제10절 손실보상 348 
Ⅰ. 손실보상의 의의  348 Ⅱ. 대상자  348 
Ⅲ. 청구기간  349  Ⅳ. 손실보상심의위원회  349 
Ⅴ. 손실보상 기준 및 지급절차  349 
Ⅵ. 사후조치  352 
제11절 범인검거 등 공로자 보상 352 
Ⅰ. 범인검거 등 공로자 보상의 의의  352 
Ⅱ. 대상자  353  Ⅲ. 보상금 심사 주무부서  353 
Ⅳ. 보상금심사위원회  353 Ⅴ. 사후조치  354 
 
 
제6편  외국의 경찰제도 
제1장 경찰제도의 형태 
제1절 경찰제도의 분류 359 
제2절 경찰제도의 비교 360 
Ⅰ. 자치행정주의와 경찰  360 
Ⅱ. 치안서비스의 차별화와 효율성  361 
Ⅲ. 정치적 중립성  361 
제2장 영국의 경찰 
제1절 영국 경찰의 역사 362 
Ⅰ. 근대 이전의 경찰발전  362 Ⅱ. 근대의 경찰발전  363 
Ⅲ. 현대의 경찰발전  364 
제2절 영국의 경찰관련기관 366 
Ⅰ. 국가경찰  366  Ⅱ. 자치경찰  382 
Ⅲ. 수사권  387 
제3절 영국의 경찰공무원 388 
Ⅰ. 채용과 교육  388  Ⅱ. 승진과 권익 등  392 
제3장 미국의 경찰 
제1절 미국 경찰의 역사 394 
제2절 미국의 경찰관련기관 397 
Ⅰ. 연방법집행기관  398 Ⅱ. 주경찰  404 
Ⅲ. 지방경찰  405  Ⅳ. 특별경찰  408 
Ⅴ. 수사권  410 
제3절 미국의 경찰공무원 410 
Ⅰ. 인사제도의 발달  410 Ⅱ. 채용과 교육  412 
Ⅲ. 승진과 권익 등  415 
제4장 독일의 경찰 
제1절 독일 경찰의 역사 418 
제2절 독일의 경찰관련기관 419 
Ⅰ. 연방법집행기관  419 Ⅱ. 주경찰  423 
Ⅲ. 수사권  425 
제3절 독일의 경찰공무원 426 
Ⅰ. 채용과 교육  426  Ⅱ. 승진과 권익 등  427 
제5장 프랑스의 경찰 
제1절 프랑스 경찰의 역사 429 
제2절 프랑스의 경찰관련기관 431 
Ⅰ. 국가경찰  431  Ⅱ. 자치경찰  437 
Ⅲ. 수사권  440 
제3절 프랑스의 경찰공무원 442 
제6장 일본의 경찰 
제1절 일본 경찰의 역사 445 
Ⅰ. 명치유신 이후 구경찰법 제정 이전  445 
Ⅱ. 구경찰법시대  446  Ⅲ. 신경찰법시대  446 
제2절 일본의 경찰관련기관 447 
Ⅰ. 국가경찰  447  Ⅱ. 자치경찰  450 
Ⅲ. 국가경찰과 자치경찰의 관계  454 
Ⅳ. 긴급사태시의 특별조치  454 
Ⅴ. 수사권  455 
제3절 일본의 경찰공무원 455 
 
 
제7편  제복경찰의 직무영역 
제1장 조직 및 인사관리 경찰 
제1절 조직 및 인사관리 경찰의 의의 463 
제2절 조직 및 인사관리 경찰의 조직 464 
Ⅰ. 홍보업무  464  Ⅱ. 감사관  465 
Ⅲ. 기획조정관  466  Ⅳ. 경무인사기획관  468 
Ⅴ. 미래치안정책국  470 
제2장 범죄예방대응경찰 
제1절 범죄예방대응경찰의 의의 472 
제2절 범죄예방대응경찰의 조직 472 
Ⅰ. 경찰청  472  Ⅱ. 시·도경찰청 및 경찰서  474 
제3절 지역경찰 474 
Ⅰ. 지역경찰의 의의  474 
Ⅱ. 지역경찰공무원과 지역경찰관서  474 
Ⅲ. 지역경찰의 조직 및 근무  475 
제4절 경비업 관리 사무 480 
Ⅰ. 경비업의 의의  480 
Ⅱ. 경비업의 허가 및 신고사항 등  481 
Ⅲ. 경비업자의 관할 및 의무  482 
Ⅳ. 경비지도사 및 경비원  484 Ⅴ. 경비원의 의무  486 
Ⅵ. 경비업자의 경비원 관리  490 
Ⅶ. 허가관청의 조치  491 Ⅷ. 행정처분  492 
제3장 생활안전교통경찰 
제1절 생활안전교통경찰의 의의 494 
제2절 생활안전교통경찰의 조직 494 
Ⅰ. 경찰청  494  Ⅱ. 시·도경찰청 및 경찰서  496 
제3절 실종아동등 발견 및 복귀 497 
Ⅰ. 경찰청 실종아동등 신고센터 운영  497 
Ⅱ. 사전신고제 및 지문정보 등록관리  498 
Ⅲ. 수색 또는 수사의 실시 등  500 
Ⅳ. 유전자검사의 실시 및 정보관리  502 
제4절 도로교통업무 503 
Ⅰ. 도로교통업무처리와 관련된 용어의 정의  503 
Ⅱ. 교통안전시설 및 무인교통단속기 설치 등  507 
Ⅲ. 신호 또는 지시에 따를 의무  508 
Ⅳ. 통행의 금지 및 제한  509 
Ⅴ. 어린이, 노약자의 보호  510 
Ⅵ. 운전자 및 고용주 등의 의무  512 
Ⅶ. 교통사고발생시의 조치  520 
제5절 운전면허 521 
Ⅰ. 운전면허의 발급 및 시험  521 
Ⅱ. 운전면허증 갱신  525 Ⅲ. 적성검사  525 
Ⅳ. 운전면허 취소 및 정지  526 Ⅴ. 국제운전면허증  531 
제6절 교통사고처리 특례 532 
Ⅰ. 교통사고처리특례의 의의  532 
Ⅱ. 교통사고처리의 준칙  533 
제4장 경비경찰 
제1절 경비경찰의 의의 535 
제2절 경비경찰의 조직 535 
Ⅰ. 경찰청  535  Ⅱ. 시·도경찰청 및 경찰서  537 
제3절 경비경찰의 수단과 원칙 537 
Ⅰ. 경비경찰의 수단  537 Ⅱ. 경비경찰수단의 한계  538 
제4절 집회·시위시 채증 539 
Ⅰ. 채증등의 의의  539 Ⅱ. 채증요원의 편성과 관리  539 
Ⅲ. 채증활동  540  Ⅳ. 채증자료의 관리 및 판독  541 
제5절 청원경찰 544 
Ⅰ. 청원경찰의 의의  544 Ⅱ. 청원경찰의 배치기관  545 
Ⅲ. 사업주의 배치신청 및 시·도경찰청장의 배치 및 폐지 등  545 
Ⅳ. 청원경찰의 임용 등  546 Ⅴ. 청원경찰의 무기휴대  548 
Ⅵ. 청원경찰의 신분상 의무  548 
Ⅶ. 청원경찰의 직무상 의무  549 
Ⅷ. 지휘감독  550  Ⅸ. 과태료  550 
Ⅹ. 권한위임  550 
 
 
제8편  사복경찰의 직무영역 
제1장 치안정보경찰 
제1절 치안정보경찰의 의의 555 
제2절 치안정보경찰의 조직 555 
Ⅰ. 경찰청  555 Ⅱ. 시·도경찰청 및 경찰서  556 
제3절 치안정보활동 557 
Ⅰ. 치안정보활동의 의의  557 
Ⅱ. 치안정보활동의 기본원칙 등  557 
Ⅲ. 치안정보활동의 범위  558 
Ⅳ. 치안정보의 수집 및 사실의 확인 절차  559 
Ⅴ. 치안정보의 작성 및 처리  559 
Ⅵ. 위법한 지시의 금지 및 거부  560 
제4절 집회시위의 관리 560 
Ⅰ. 집회시위관리의 의의  560 Ⅱ. 용어의 정의  561 
Ⅲ. 집회시위의 원칙  562 Ⅳ. 옥외집회 및 시위의 신고  563 
Ⅴ. 옥회집회 및 시위의 금지 및 제한  566 
Ⅵ. 집회 및 시위의 금지 또는 제한 통고  568 
Ⅶ. 집회 및 시위의 금지 통고에 대한 이의신청 등  570 
Ⅷ. 집회시위 주최인·질서유지인·참가자의 의무  572 
Ⅸ. 질서유지인 및 참가자의 준수사항  574 
Ⅹ. 경찰관의 질서유지선 설정 및 출입  574 
ⅩⅠ. 집회 또는 시위의 종결 및 해산  575 
ⅩⅡ. 집회·시위자문위원회  576 
제2장 수사경찰 
제1절 수사경찰의 의의 579 
제2절 수사경찰의 조직 581 
Ⅰ. 경찰청(국가수사본부)  581 Ⅱ. 시·도경찰청 및 경찰서  588 
제3절 수사경찰 인사관리 589 
Ⅰ. 수사경찰의 의의 및 배치부서  589 
Ⅱ. 수사경찰의 인사운영 원칙  589 
Ⅲ. 수사경과자 선발 및 수사경과 관리  591 
Ⅳ. 수사경과심사위원회  595 
제4절 전문수사관제 596 
Ⅰ. 전문수사관제의 의의  596 Ⅱ. 전문수사관 인증 등급  597 
Ⅲ. 전문수사관의 인증절차  598 Ⅳ. 평가시험  599 
Ⅴ. 인   증  600  Ⅵ. 전문수사관 지원 및 관리  602 
제5절 범죄수사 603 
Ⅰ. 수사의 조직  603 
Ⅱ. 사건의 관할, 수사 및 제척 등  607 
Ⅲ. 경찰관서 내 이의제기  612 Ⅳ. 수사본부  615 
Ⅴ. 수사준칙상 규정  616 
제3장 안보수사경찰 
제1절 안보수사경찰의 의의 633 
제2절 안보수사경찰의 조직 633 
Ⅰ. 경찰청  633  Ⅱ. 시·도경찰청 및 경찰서  635 
제3절 안보수사경찰 인사관리 635 
Ⅰ. 기본인사원칙  635 
Ⅱ. 보안경과경찰의 의의 및 배치부서  636 
Ⅲ. 보안경과 선발·해제심사위원회  637 
Ⅳ. 보안경과의 선발  637 Ⅴ. 보안경과의 부여, 갱신  639 
Ⅵ. 보안경과의 해제  640 Ⅶ. 보안경과의 교육  641 
Ⅷ. 보안경과의 근무환경  642 
제4장 국제협력경찰 
제1절 국제협력경찰의 의의 643 
제2절 국제협력경찰의 조직 643 
Ⅰ. 경찰청  643  Ⅱ. 시·도경찰청 및 경찰서  644 
제3절 국제경찰활동 644 
Ⅰ. 해외주재관 파견  644 Ⅱ. 인터폴 협력  646 
제4절 범죄인 인도와 송환 653 
Ⅰ. 의   의  653  Ⅱ. 범죄인 인도 등의 개념  653 
Ⅲ. 인도대상범죄 및 인도의 원칙  654 
Ⅳ. 인도절차  657 
Ⅴ. 외국에 대한 범죄인 인도청구  657 
제5절 한미행정협정 659 
Ⅰ. 의   의  659  Ⅱ. 군대 및 구성원의 개념  660 
Ⅲ. 접수국 법령의 존중  661 Ⅳ. 출입국  661 
Ⅴ. 통관과 관세  661  Ⅵ. 형사재판권  662 
 
 
찾아보기 667 
참고문헌 및 웹사이트 675

상품정보 제공고시
게시판 성격과 다른내용의 글을 등록하실 경우 임의로 삭제처리 될 수 있습니다. 기대평가 입력하기 기대평가 전체보기
★ 게시판 성격과 다른내용의 글을 등록하실 경우 임의로 삭제처리 될 수 있습니다.
★ 개정판의 경우 구판에 관한 후기가 있으므로 작성일을 확인해 주세요.
이용후기 입력하기 이용후기 전체보기
★ 상품문의외 주문시 요청사항은 처리되지 않으며 삭제됩니다. 1:1문의/고객게시판을 이용해 주세요.★ 상품문의 입력하기
배송안내
반품/교환/AS안내
이 상품 관련상품
  • 박균성 행정법강의(제22판)
    박균성 행정법강의(제22판)
    70,000 70,000
    1%
  • 신동운 간추린 신형사소송법[제17판]
    신동운 간추린 신형사소송법[제17판]
    39,000 37,830
    3% 1%
  • 내면소통 - 삶의 변화를 가져오는 마음근력 훈련
    내면소통 - 삶의 변화를 가져오는 마음근력 훈련
    33,000 29,700
    10% 5%
  • 2025 김재형 판례 민법전
    2025 김재형 판례 민법전
    38,000 38,000
    1%
  • 경찰학개론(제2판)
    경찰학개론(제2판)
    39,000 39,000
    1%
  • 세법의 이해(제4판)
    세법의 이해(제4판)
    36,000 36,000
    1%
  • 민사소송법 강의(제4판)
    민사소송법 강의(제4판)
    48,000 48,000
    1%
  • 부동산감정평가론
    부동산감정평가론
    28,000 28,000
    1%
제휴카페 B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