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본 상품 (0)
  • 형법총론(7판)
    형법총론(7판)
    43,000
  • 인생을 바꾸는 대화의 기술
    인생을 바꾸는 대화의 기술
    16,920
1/11
형법총론(7판)
무료배송
형법총론(7판)
0.0
  • 이용후기
  • 상품문의
* 재고 상황에 따라 발송이 1~2일 지연 될 수 있습니다.
  • 정가
    43,000
  • 판매가
    43,000
  • 적립금
    430원 (배송완료시 지급/이용후기 작성시 50원 지급) 1%
  • 배송비
    무료배송(우체국택배)
  • 소득공제
    추가 소득공제 가능 도서(자세히 보기)
  • 혜택
    [2025년 7월] 신용카드 무이자할부 이벤트
    [2025년 7월] 신용카드 무이자할부 이벤트 더보기+

    2025년 7월 카드사 무이자 할부 혜택 안내

    EVENT 01. 카드사 무이자 할부

    기간 카드사 할부적용 금액 할부개월 신청방법 비고
    25.07.01
    ~25.07.31
    현대카드 5만원 이상 2~3개월 별도 신청
    없이 적용
    PG업종만 제공
    롯데카드 2~5개월
    국민카드 2~5개월
    신한카드 2~3개월
    삼성카드 2~3개월
    비씨카드 2~5개월
    우리카드 2~5개월
    NH카드 2~6개월
    하나카드 2~5개월
    광주카드 2~7개월

    EVENT 02. 부분 무이자 할부

    기간 카드사 할부개월 고객부담 면제 비고
    25.07.01
    ~25.07.31
    삼성카드 7개월 1~3회차 잔여회차 면제 별도 신청 없이 적용
    11개월 1~5회차
    23개월 1~10회차
    현대카드 10개월 1~5회차 잔여회차 면제 별도 신청 없이 적용
    12개월 1~6회차
    신한카드 7개월 1~3회차 잔여회차 면제 별도 신청 없이 적용
    9개월 1~4회차
    11개월 1~5회차
    23개월 1~10회차
    국민카드 6개월 1~3회차 잔여회차 면제 별도 신청 없이 적용
    10개월 1~5회차
    하나카드 6개월 1~3회차 잔여회차 면제 별도 신청 없이 적용
    10개월 1~4회차
    12개월 1~5회차
    18개월 1~8회차
    BC카드 10개월 1~4회차 잔여회차 면제 별도 신청 없이 적용
    12개월 1~5회차
    우리카드 10개월 1~4회차 잔여회차 면제 별도 신청 없이 적용
    12개월 1~5회차
    NH카드 7개월~10개월 1~3회차 잔여회차 면제 별도 신청 없이 적용
    12개월 1~4회차
    18개월 1~5회차
    24개월 1~6회차

     ■ 유의사항

    수협BC카드의 경우 BC카드 부분무이자 혜택에서 적용 제외됩니다.

    개인사업자/법인/체크/선불/기프트/하이브리드/토스카드/은행계열카드는 적용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은행계열카드 : 카드 전/후면에 BC마크가 없는 카드 (예. 제주 등)

    BC카드 및 NH농협 카드의 경우 사전 신청 고객에 한하여 금액에 따른 부분 무이자 우대 회차 적용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카드사 홈페이지 혹은 ARS 문의 바랍니다. ( BC : 1899-5772 / NH농협 : 1644-2009 )

    무이자 할부 결제 시 포인트, 마일리지 등 다른 혜택과 중복 적용 되지 않습니다.

    당사 대표 가맹점이 아닌 직계약(자체) 가맹점, 신규 가맹점 등 일부는 적용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PG업종에만 해당하는 무이자로 이 외 업종은 적용 불가 합니다. (제약, 등록금, 도시가스 등)

    하나카드는 PG업종 외 TASF 취급수수료, 환금성(상품권), 학원, 면세점, 보험업종 등의 경우 적용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본 행사는 카드사 사정에 따라 변경 또는 중단될 수 있습니다.

  • 저자
    오영근.노수환 저자의 다른 교재 보기
  • 출판사
  • 발행일
    2024-02-20(교재 판권에 표기된 발행일이며 실제 발행일과 다릅니다)
  • 판형
    716p
  • ISBN
    9791130346700
    ?
    ISBN이란?
    국제표준도서번호(International Standard Book Number)로서, 국제적으로 표준화된 방법에 따라 전세계에서 생산되는 도서에 부여된 고유번호를 말합니다.
총 상품금액 0
상세소개

이번 판부터는 노수환 교수를 공동저자로 모셨다. 근래에 단독저서에 제자들을 공동저자로 하는 교과서들이 출간되고 이것은 매우 바람직한 현상이라고 생각된다. 단독저서의 장점도 많지만 단점으로는 저자 스스로 자신만의 논리에 함몰되어 객관성을 잃을 위험이 있다는 것이다. 공저의 경우 이러한 단점은 줄어들지만 제자를 공동저자로 하는 경우에는 제자가 더 좋은 견해를 가지고 있어도 스승이 집필한 기존 교과서의 내용을 고치기는 쉽지 않다.
이 때문에 평소 존경해오던 노수환 교수에게 공동저자를 부탁하였고, 감사하게도 노 교수가 흔쾌히 수락해주었다. 노 교수가 필자의 견해를 토대로 우리 형법학과 형사실무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교과서로 발전시켜 주기를 바란다.
노 교수는 일찍이 사법연수원을 수석으로 졸업하고, 판사와 변호사를 거쳐 2009년부터 성균관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로 활동하고 있다. 실무와 이론을 겸비한 노 교수의 형사기록형 교재는 로스쿨 학생들의 필독서가 되어 변호사시험 공부에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이러한 노 교수의 능력을 발휘한다면 로스쿨 학생을 비롯한 모든 법학도들의 형법 공부에도 큰 도움을 줄 수 있는 교과서로 발전시킬 수 있으리라 확신한다. 필자 역시 노 교수와 계속적인 토론과 협의를 통해 좀더 나은 교과서가 될 수 있도록 노력을 아끼지 않을 것이다.
개정판을 출간하면서 명지대 안수길 교수의 도움을 많이 받았다. 그는 제6판의 내용상의 오류와 오탈자를 꼼꼼히 수정해 주었다. 박영사의 장유나 차장은 이번 개정판을 공저로 하게 되면서 두 사람의 원고를 잘 정리해 주었다. 또한 박영사의 안종만 회장, 조성호 이사 및 모든 직원분들도 개정판의 출간을 위해 수고해주셨다. 이 자리를 빌려 감사드린다.

2024. 2.
공동저자 오 영 근


많은 학자들의 존경을 받고 계시는 오영근 교수님은 형법학계의 큰 산입니다. 교수께서는 우리 형법규정에 맞는 우리의 자주적인 형법해석학을 확립하기 위한 연구에 헌신하셨습니다. 연구자들을 위하여 새해 초마다 발표하셨던 전년도 대법원 형사판례들에 대한 평석은 간명하면서도 폐부를 찌르는 내용으로 법률실무전문가인 저도 매번 경이로웠습니다. 그래서 교수께서 평생의 업적으로 일구신 알기 쉽게 쓰인 형법총론과 형법각론 교과서에 감히 저의 이름을 함께 올리는 것은 더할 나위 없는 영광이기에 미력이나마 보탠다는 이유로 욕심을 부리기로 하였습니다.
모든 형법학의 기초가 되는 필수적인 형법총론은 학생들이 그 논리적인 해석과 이해, 체계화를 위하여 공부하기에는 상당히 어려운 부분입니다. 한편 법학은 구체적인 사안에서 실정법을 적용하여 그 해결책을 제시하는 실용학문이므로 대법원 판례를 익히는 것도 매우 중요합니다. 그러나 우리는 대법원 판례의 법리를 그대로 맹종해서는 안 되고 이를 논리적으로 비판할 수 있는 사고능력을 길러야 합니다. 저는 이 책이 여러분에게 형법총론을 좀더 이해하기 쉬우면서도, 판례를 이해하고 논리적으로 비판할 수 있는 사고능력을 향상시켜 줄 것으로 확신합니다.
이번 개정판에서는 2023년도까지의 대법원 판례와 개정된 법률 등을 반영하였는데, 그 이전의 판례도 상당 부분 추가․보완하여 책의 분량이 약 80쪽 증가하였습니다. 하지만 이것은 형법각론 공부에 있어서도 중요하고 여러분의 이해를 돕기 위한 판례와 사례의 보완이므로 책을 읽는 속도와 이해는 종전보다 빨라질 것이어서 실제 부담은 크지 않을 것입니다.
존경하는 오영근 교수님과 저는 앞으로 다양한 쟁점과 판례를 망라하여 형법학을 공부하는 여러분에게 유용한 형법총론 교과서가 될 수 있도록 부단히 노력할 것을 약속드립니다. 새해에도 독자 여러분께 건강과 행복이 함께 하기를 기원합니다.

2024. 2.
공동저자 노 수 환

목차
제1편 서  론 
 
제1장  형법의 기본개념 §1 
Ⅰ.  형법의 의의 3 
1. 실질적 의미의 형법과 형식적 의미의 형법 3 
2. 형법전과 형사특별법 및 행정형법 3 
3. 형법의 체계적 지위 5 
4. 형법학의 분야 5 
Ⅱ.  형사제재의 종류와 형법의 보충성 6 
1. 형벌의 종류 6 
2. 보안처분의 종류 8 
3. 기타의 형사제재 9 
4. 형법의 보충성원칙 9 
Ⅲ.  형법의 목적 및 기능 11 
1. 형법의 목적 11 
2. 보호적 목적(기능) 11 
3. 인권보장의 목적 13 
4. 규범적 목적 13 
5. 형법의 순기능과 역기능 14 
 
제2장  형법의 역사 §2 
Ⅰ.  고대의 형벌제도 15 
Ⅱ.  중세의 형벌제도 15 
Ⅲ.  근대의 형벌제도 16 
1. 고전학파(구파, classical school) 16 
2. 근대학파(신파, positive school) 20 
Ⅳ.  현대의 범죄 및 형벌관 23 
1. 범죄와 형벌의 과학적 탐구 23 
2. 인권보장의 강조 23 
Ⅴ.  한국형법의 역사 23 
1. 고려시대까지의 형법 23 
2. 조선시대의 형법 24 
3. 일제강점기에서 1953년 형법제정시까지의 형법 25 
 
제3장  죄형법정주의 §3 
Ⅰ.  죄형법정주의의 의의 및 연혁 30 
1. 죄형법정주의의 의의 30 
2. 죄형법정주의의 연혁 30 
3. 죄형법정주의의 사상적 배경 31 
Ⅱ.  죄형법정주의의 현대적 의의 32 
1. 죄형법정주의에 대한 도전 32 
2. 죄형법정주의의 현대적 의의 32 
Ⅲ.  죄형법정주의의 내용 33 
1. 성문법주의 33 
2. 명확성의 원칙 35 
3. 소급효금지의 원칙 38 
4. 유추해석금지의 원칙 45 
5. 적정성의 원칙 54 
 
제4장  형법의 적용범위 §4 
Ⅰ.  시간적 적용범위 57 
1. 행위시법주의와 재판시법주의 57 
2. 행위시법주의(구법주의) 57 
3. 재판시법주의(신법주의) 59 
4. 법률의 변경과 백지형법 보충규범의 개폐 63 
5. 한 시 법 63 
6. 헌법재판소 위헌결정의 효력 66 
7. 형법 제1조의 올바른 해석 66 
Ⅱ.  장소적․인적 적용범위 67 
1. 속지주의 67 
2. 속인주의 69 
3. 보호주의 69 
4. 세계주의 71 
Ⅲ.  관할의 경합 72 
 
 
 
제2편 범 죄 론 
 
제1장  범죄론의 기본개념 
제1절 범죄의 개념과 종류 §5 
Ⅰ.  범죄의 개념 75 
1. 형식적 범죄개념 75 
2. 실질적 범죄개념 75 
Ⅱ.  범죄의 성립조건․처벌조건․소추조건 77 
1. 범죄의 성립조건 77 
2. 범죄의 처벌조건 79 
3. 범죄의 소추조건 80 
Ⅲ.  범죄의 종류 81 
1. 침해범과 위험범 81 
2. 일반범과 신분범 83 
3. 단일범과 결합범 84 
4. 거동범과 결과범 84 
5. 작위범과 부작위범 85 
6. 계속범과 상태범 85 
7. 고의범과 과실범 87 
8. 목적범․경향범 87 
 
제2절 형법이론 §6 
Ⅰ.  객관주의와 주관주의 88 
Ⅱ.  객관주의 88 
Ⅲ.  주관주의 89 
Ⅳ.  객관주의와 주관주의의 형법해석 비교 89 
1. 사실의 착오 89 
2. 책 임 론 90 
3. 미 수 론 90 
4. 공 범 론 91 
5. 죄 수 론 91 
6. 형 벌 론 91 
Ⅴ.  형법의 입장 92 
1. 사실의 착오에 관한 규정 92 
2. 책임에 관한 규정 92 
3. 미수범에 관한 규정 92 
4. 공범에 관한 규정 93 
5. 죄수에 관한 규정 93 
6. 형벌에 관한 규정 94 
제3절 행위론과 범죄체계 §7 
Ⅰ.  행위론의 의의 94 
1. 행위론의 연혁 94 
2. 행위론 무용론 95 
Ⅱ.  행위개념의 기능 96 
Ⅲ.  행위론의 내용 96 
1. 인과적 행위론 96 
2. 목적적 행위론 97 
3. 사회적 행위론 97 
4. 기타의 행위론 98 
Ⅳ.  행위론 무용론 98 
1. 행위론의 쇠퇴 98 
2. 형법상의 범죄행위 99 
Ⅴ.  범죄체계론 100 
1. 범죄체계론의 의의 100 
2. 범죄체계론의 역사 100 
3. 범죄체계론의 내용 101 
4. 개인적 견해 102 
 
제2장  구성요건론 
제1절 구성요건이론 §8 
Ⅰ.  구성요건의 개념과 의의 103 
1. 구성요건의 개념 103 
2. 구성요건의 기능 104 
3. 구성요건과 구성요건해당성 104 
Ⅱ.  구성요건이론 105 
1. 구성요건이론의 역사적 발전 105 
2. 소극적 구성요건요소이론 106 
Ⅲ.  구성요건의 구조와 구성요건요소 107 
1. 사실적 구성요건요소와 규범적 구성요건요소 107 
2. 객관적 구성요건요소와 주관적 구성요건요소 109 
Ⅳ.  구성요건해당성과 위법성의 관계 110 
1. 사회상당성이론 110 
2. 불법과 위법성 110 
Ⅴ.  구성요건론의 내용개관 111 
1. 객관적 구성요건 111 
2. 주관적 구성요건 112 
3. 객관과 주관의 불일치(착오) 112 
제2절 법인의 형사책임 §9 
Ⅰ.  법인과 형사책임 114 
1. 문 제 점 114 
2. 비교법적 고찰 114 
Ⅱ.  법인의 범죄능력 115 
1. 법인의 본질론과 범죄능력 115 
2. 범죄능력 인정여부에 관한 학설 116 
3. 판    례 117 
Ⅲ.  법인의 형벌능력 118 
1. 양벌규정의 유형 118 
2. 법인처벌의 근거 119 
3. 양벌규정에 의한 처벌 120 
4. 법인격없는 사단의 범죄능력과 형벌능력 123 
제3절 행위반가치와 결과반가치 §10 
Ⅰ.  행위반가치와 결과반가치의 개념 124 
1. 용어의 정리 124 
2. 범죄체계에서 행위불법과 결과불법 125 
Ⅱ.  결과불법(반가치)론과 행위불법(반가치)론의 발전 125 
1. 결과불법(반가치)론 125 
2. 행위불법(반가치)론 126 
3. 최근의 경향 127 
Ⅲ.  결과불법(반가치)과 행위불법(반가치)의 내용 127 
1. 결과불법(반가치)의 내용 127 
2. 행위불법(반가치)의 내용 128 
3. 결과불법과 행위불법의 상대성 129 
제4절 인과관계와 객관적 귀속 §11 
Ⅰ.  인과관계의 형법적 의의 130 
1. 문 제 점 130 
2. 인과관계논의 실익 131 
3. 유    형 131 
Ⅱ.  인과관계에 관한 학설 132 
1. 형법 제17조 132 
2. 조 건 설 133 
3. 상당인과관계설 136 
4. 기타의 학설 138 
5. 판  례 139 
6. 결  어 141 
Ⅲ.  객관적 귀속론 142 
1. 객관적 귀속론의 의의 142 
2. 객관적 귀속의 기준 143 
3. 객관적 귀속론에 대한 비판 144 
제5절 주관적 구성요건요소 §12 
Ⅰ.  고  의 145 
1. 형법 제13조 및 제14조 145 
2. 고의의 개념 146 
3. 고의의 종류 148 
4. 고의의 체계적 지위 151 
5. 고의의 성립요건 152 
Ⅱ.  과  실 155 
1. 과실의 개념 155 
2. 과실의 종류 157 
3. 과실의 범죄체계상의 지위 158 
4. 과실범의 성립요건 159 
제6절 결과적가중범 §13 
Ⅰ.  결과적가중범의 개념 및 문제점 168 
1. 결과적가중범의 개념 168 
2. 결과적가중범의 문제점 168 
Ⅱ.  결과적가중범의 종류 169 
Ⅲ.  결과적가중범의 성립요건 170 
1. 고의의 기본범죄 170 
2. 무거운 결과의 발생 171 
3. 기본범죄와 무거운 결과 사이의 인과관계 및 객관적 귀속 172 
4. 무거운 결과에 대한 예견가능성 173 
Ⅳ.  결과적가중범의 미수 175 
1. 형법의 규정 175 
2. 진정결과적가중범의 미수의 인정여부 175 
Ⅴ.  결과적가중범의 공범 176 
1. 결과적가중범의 공동정범 176 
2. 결과적가중범의 교사․방조범 178 
Ⅵ.  부진정결과적가중범 179 
1. 부진정결과적가중범의 개념 179 
2. 부진정결과적가중범의 인정이유 179 
3. 부진정결과적가중범의 성립범위 180 
4. 부진정결과적가중범의 미수 181 
5. 부진정결과적가중범의 죄수 181 
제7절 사실의 착오 §14 
Ⅰ.  착오의 일반적 개념 183 
1. 형법상의 착오 183 
2. 사실의 착오의 범위 184 
Ⅱ.  사실의 착오의 개념과 종류 185 
1. 사실의 착오의 개념 185 
2. 사실의 착오의 종류 185 
Ⅲ.  사실의 착오의 형법적 효과 186 
1. 문 제 점 186 
2. 구체적 부합설 187 
3. 법정적 부합설 189 
4. 추상적 부합설 190 
5. 결  어 191 
제8절 인과과정의 착오 §15 
Ⅰ.  인과과정의 착오의 개념 193 
1. 인과과정과 고의 193 
2. 인과과정의 착오의 개념과 유형 193 
Ⅱ.  교각(橋脚)살해 사례 194 
Ⅲ.  개괄적 고의 사례 194 
1. 개    념 194 
2. 형법적 효과 195 
Ⅳ.  조기결과발생 사례 197 
1. 개    념 197 
2. 형법적 효과 197 
제9절 부작위범 §16 
Ⅰ.  부작위범의 의의 198 
1. 부작위범의 개념 198 
2. 작위와 부작위의 구별 199 
Ⅱ.  부작위범의 종류 202 
1. 통설의 입장 202 
2. 독일의 통설 202 
3. 결  어 203 
Ⅲ.  부작위범의 성립요건 204 
1. 부작위범의 특수성 204 
2. 부작위범의 구성요건해당성 204 
3. 부작위범의 위법성 및 책임 216 
4. 부작위범의 공범 216 
Ⅳ.  관련문제 217 
 
제3장  위법성론 
제1절 위법성의 일반이론 §17 
Ⅰ.  위법성의 의의 218 
1. 위법성의 개념 218 
2. 구성요건해당성과 위법성의 관계 219 
3. 위법성과 책임과의 관계 219 
Ⅱ.  위법성의 본질과 평가방법 220 
1. 형식적 위법성론과 실질적 위법성론 220 
2. 주관적 위법성론과 객관적 위법성론 222 
Ⅲ.  위법성조각사유의 일반이론 223 
1. 위법성조각사유의 의의 223 
2. 위법성조각의 근거 224 
Ⅳ.  주관적 정당화(위법성조각)요소 226 
1. 주관적 정당화요소의 개념 226 
2. 주관적 정당화요소의 필요여부 227 
3. 주관적 정당화요소의 내용 228 
4. 주관적 정당화요소가 없는 경우의 효과 228 
5. 과실범에서 주관적 정당화요소 229 
제2절 정당방위 §18 
Ⅰ.  정당방위의 의의 231 
1. 정당방위의 개념 231 
2. 정당방위의 근거 231 
Ⅱ.  정당방위의 성립요건 232 
1. 객관적 요건: (자기 또는 타인의 법익에 대한) 현재의 부당한 침해 232 
2. 자기 또는 타인의 법익(을 방위하기 위하여 한 행위) 237 
3. 방위하기 ‘위하여 한’ 행위일 것(방위의사) 238 
4. 상당한 이유가 있을 것 239 
5. 정당방위의 사회윤리적 제한 240 
Ⅲ.  정당방위의 효과 242 
Ⅳ.  과잉방위 243 
1. 과잉방위의 개념 243 
2. 과잉방위의 종류 243 
3. 과잉방위의 효과 243 
Ⅴ.  오상방위 244 
1. 오상방위의 개념 244 
2. 오상방위의 효과 245 
3. 오상과잉방위 245 
제3절 긴급피난 §19 
Ⅰ.  긴급피난의 의의 246 
Ⅱ.  긴급피난의 법적 성질 246 
1. 견해의 대립 246 
2. 긴급피난의 위법성조각의 근거 248 
Ⅲ.  긴급피난의 성립요건 249 
1. 자기 또는 타인의 법익에 대한 현재의 위난 249 
2. 피난의사 250 
3. 상당한 이유 251 
Ⅳ.  긴급피난의 효과 252 
Ⅴ.  과잉피난, 오상피난, 오상과잉피난 253 
Ⅵ.  의무의 충돌 254 
1. 의무충돌의 의의 254 
2. 의무충돌의 형태 255 
3. 의무충돌의 법적 성격 256 
4. 의무충돌의 요건 256 
5. 의무충돌의 효과 257 
제4절 자구행위 §20 
Ⅰ.  자구행위의 의의 257 
1. 자구행위의 개념 257 
2. 정당방위, 긴급피난과의 비교 258 
Ⅱ.  자구행위의 법적 성격 259 
1. 통설의 입장 259 
2. 비  판 260 
Ⅲ.  자구행위의 성립요건 261 
1. 법률에서 정한 절차에 의한 청구권보전의 불능 261 
2. 청구권의 실행불능 또는 현저한 실행곤란 상황을 피하기 위한 행위 263 
3. 상당한 이유 263 
Ⅳ.  자구행위의 효과 265 
Ⅴ.  과잉자구행위, 오상자구행위 및 오상과잉자구행위 265 
1. 과잉자구행위 265 
2. 오상자구행위, 오상과잉자구행위 265 
제5절 피해자의 승낙에 의한 행위 §21 
Ⅰ.  승낙에 의한 행위의 의의 266 
1. 승낙에 의한 행위의 개념 266 
2. 승낙에 의한 행위의 위법성조각의 근거 267 
Ⅱ.  승낙의 형법적 효과 268 
1. 구성요건조각적 승낙(양해)과 위법성조각적 승낙 268 
2. 기타의 승낙 269 
Ⅲ.  승낙에 의한 행위의 성립요건 270 
1. 처분권자의 승낙 270 
2. 처분할 수 있는 법익에 대한 승낙 272 
3. 행위자가 승낙사실을 알고 있을 것 273 
4. 법률에 특별한 처벌규정이 없을 것 273 
5. 승낙에 의한 행위가 사회상규에 위배되지 않을 것 273 
Ⅳ.  승낙에 의한 행위의 효과 274 
Ⅴ.  양  해 274 
1. 양해의 성립요건 274 
2. 양해의 효과 275 
Ⅵ.  추정적 승낙 275 
1. 추정적 승낙의 개념 275 
2. 추정적 승낙의 유형 276 
3. 추정적 승낙의 법적 성격 277 
4. 추정적 승낙의 성립요건 278 
5. 추정적 양해(허락) 280 
제6절 정당행위 §22 
Ⅰ.  정당행위의 개념 281 
1. 형법 제20조 281 
2. 사회상규의 개념 281 
Ⅱ.  법령에 의한 행위 282 
1. 공무원의 직무집행행위 282 
2. 사인(私人)의 법령에 의한 행위 283 
Ⅲ.  업무로 인한 행위 287 
1. 의사의 치료행위 288 
2. 성직자․변호사의 직무행위 289 
3. 운동경기행위 290 
4. 기타 업무로 인한 행위 290 
Ⅳ.  사회상규에 위배되지 않는 행위 290 
1. 의  의 290 
2. 안 락 사 293 
3. 사회․경제적 사유에 의한 낙태행위 294 
4. 경미한 법익침해행위 294 
 
제4장  책 임 론 
제1절 책임이론 §23 
Ⅰ.  책임의 개념 296 
1. 행위자에 대한 비난(가능성)으로서의 책임 296 
2. 형사책임과 윤리적 책임 296 
3. 형사책임과 민사책임 297 
Ⅱ.  책임과 자유의사 297 
1. 도의적 책임론 297 
2. 사회적 책임론 298 
3. 형법의 규정 298 
Ⅲ.  책임의 개념: 심리적 책임론과 규범적 책임론 299 
1. 심리적 책임론 299 
2. 규범적 책임론 299 
3. 형법의 태도 299 
Ⅳ.  책임의 고려요소: 행위책임론과 행위자책임론 300 
1. 개  념 300 
2. 두 학설의 차이 300 
3. 형법의 태도 301 
4. 예방적(기능적) 책임론 301 
Ⅴ.  책임요소 302 
1. 순수한 규범적 책임개념 302 
2. 고의․과실의 이중적 기능설 303 
3. 결  어 303 
Ⅵ.  위법성과 책임과의 관계 304 
제2절 책임능력 §24 
Ⅰ.  책임능력의 개념과 판단방법 304 
1. 책임능력의 개념 304 
2. 책임능력의 판단방법 305 
Ⅱ.  책임무능력자 및 한정책임능력자 307 
1. 형사미성년자 307 
2. 심신장애인(심신상실자, 심신미약자) 308 
3. 청각 및 언어 장애인 312 
Ⅲ.  원인에 있어서 자유로운 행위(원인행위책임범) 312 
1. 원인에 있어서 자유로운 행위의 의의 313 
2. 원인행위책임범의 실행의 착수시기 314 
3. 원인행위책임범의 가벌성 근거 315 
4. 원인행위책임범의 성립요건 316 
5. 원인행위책임범의 유형 318 
6. 원인행위책임범의 효과 321 
제3절 기대가능성 §25 
Ⅰ.  기대가능성의 의의 325 
1. 기대가능성의 개념 325 
2. 형법규정 325 
Ⅱ.  기대가능성의 체계적 지위 326 
1. 적극적 책임요소설 326 
2. 소극적 책임요소설 326 
3. 결  어 326 
Ⅲ.  기대가능성의 판단기준 327 
1. 국가표준설 327 
2. 행위자표준설 327 
3. 평균인표준설 328 
4. 결  어 328 
Ⅳ.  기대가능성의 착오 328 
Ⅴ.  기대불가능성으로 인한 책임조각․감경사유 329 
1. 강요된 행위 329 
2. 초법규적 책임조각․감경사유 333 
Ⅵ.  기대가능성에 대한 판례 334 
제4절 위법성의 인식과 법률의 착오 §26 
Ⅰ.  형법 제16조 335 
Ⅱ.  위법성의 인식 336 
1. 위법성인식의 개념 336 
2. 위법성인식의 요건 336 
3. 위법성인식의 체계적 지위 337 
Ⅲ.  법률의 착오 341 
1. 법률의 착오의 의의 341 
2. 법률의 착오의 유형과 법률의 부지 343 
3. 법률의 착오와 정당한 이유 346 
4. 법률의 착오의 효과 348 
5. 위법성조각사유의 요건(전제)사실의 착오 349 
6. 오상과잉방위 352 
 
제5장  미 수 론 
제1절 미수의 일반이론 §27 
Ⅰ.  범죄의 실현단계 354 
1. 범죄의 결심 354 
2. 범죄의사의 표시 355 
3. 음모․예비 355 
4. 실행의 착수 355 
5. 미  수 356 
6. 기  수 356 
7. 범죄의 종료 357 
8. 범죄의 완료 357 
Ⅱ.  미수범의 처벌근거 359 
1. 객 관 설 359 
2. 주 관 설 359 
3. 절충설 혹은 인상설 360 
4. 결  어 360 
Ⅲ.  실행의 착수 361 
1. 실행의 착수의 개념 361 
2. 실행의 착수시기 362 
3. 판    례 363 
4. 특별한 범죄유형에서 실행의 착수시기 365 
Ⅳ.  미수범의 공통적 성립요건 366 
1. 미수범의 종류와 공통적 성립요건 366 
2. 객관적 성립요건 366 
3. 주관적 성립요건 367 
4. 관련문제 367 
제2절 장애미수 §28 
Ⅰ.  장애미수의 개념 368 
Ⅱ.  장애미수의 성립요건 369 
1. 객관적 요건 369 
2. 주관적 요건 369 
Ⅲ.  장애미수의 효과 370 
제3절 중지미수 §29 
Ⅰ.  중지미수의 의의 370 
1. 중지미수의 개념 370 
2. 중지미수의 처벌근거 371 
Ⅱ.  중지미수의 성립요건 374 
1. 주관적 성립요건 374 
2. 객관적 성립요건 378 
Ⅲ.  중지미수의 효과 382 
1. 형의 필요적 감면 382 
2. 기수범포함 중지미수 383 
3. 상상적 경합의 경우 384 
Ⅳ.  공범과 중지미수 385 
1. 공동정범과 중지미수 385 
2. 교사범 및 방조범과 중지미수 385 
Ⅴ.  예비의 중지(실행의 착수의 포기) 386 
1. 예비의 중지의 개념 386 
2. 유추적용부정설 386 
3. 유추적용긍정설 387 
제4절 불능미수 §30 
Ⅰ.  불능미수의 의의 389 
1. 불능미수의 개념과 용어 389 
2. 불능미수의 처벌 390 
3. 구성요건흠결이론 390 
Ⅱ.  불능미수의 성립요건 391 
1. 실행의 착수가 있을 것 391 
2. 실행의 수단 또는 대상의 착오로 인한 결과발생 불가능 391 
3. 위험성이 있을 것 394 
4. 고의 및 초과주관적 요소의 존재 399 
Ⅲ.  불능미수의 효과 400 
제5절 예비․음모죄 §31 
Ⅰ.  예비․음모죄의 의의 401 
1. 예비․음모죄의 개념 401 
2. 예비․음모죄의 처벌규정 401 
Ⅱ.  예비․음모죄의 법적 성격 402 
1. 예비․음모죄와 본범죄와의 관계 402 
2. 예비․음모행위의 실행행위성 403 
Ⅲ.  예비․음모죄의 성립요건 404 
1. 객관적 성립요건 404 
2. 주관적 성립요건 407 
Ⅳ.  예비․음모죄의 공범 409 
1. 예비․음모죄의 공동정범 409 
2. 예비․음모죄의 교사범 409 
3. 예비․음모죄의 종범 410 
Ⅴ.  예비의 중지(실행의 착수의 포기) 411 
 
제6장  공 범 론 
제1절 공범론의 기본개념 §32 
Ⅰ.  공범의 개념 412 
1. 다수인의 범죄관여 412 
2. 공범의 개념 413 
Ⅱ.  정범과 공범(교사․방조범)의 구별 414 
1. 정범과 공범(교사․방조범)의 구별의 의의 414 
2. 정범의 개념 416 
3. 정범과 공범(교사․방조범)의 구별기준 416 
제2절 공동정범 §33 
Ⅰ.  공동정범의 개념과 특징 420 
1. 공동정범의 개념 420 
2. 공동정범의 특징 421 
Ⅱ.  공동정범의 성립범위 421 
1. 범죄공동설과 행위공동설 422 
2. 수 정 설 423 
3. 공동의사주체설과 공동행위주체설 424 
4. 판  례 425 
5. 결  어 426 
Ⅲ.  공동정범의 성립요건 427 
1. 주관적 요건 427 
2. 객관적 요건 429 
Ⅳ.  공동정범의 처벌 439 
Ⅴ.  관련문제 439 
1. 공동정범의 착오 439 
2. 결과적가중범의 공동정범 440 
3. 부작위범의 공동정범 442 
4. 공동정범과 중지미수 442 
5. 예비․음모죄의 공동정범 442 
6. 신분범의 공동정범 442 
제3절 협의의 공범(교사범 및 종범) §34 
Ⅰ.  협의의 공범의 일반이론 443 
1. 공범의 종속성 443 
2. 공범의 처벌근거 449 
Ⅱ.  교 사 범 452 
1. 교사범의 개념 및 종속성 452 
2. 교사범의 성립요건 453 
3. 교사범의 처벌 460 
4. 관련문제 460 
Ⅲ.  종  범 464 
1. 종범의 개념 464 
2. 종범의 성립요건 464 
3. 종범의 처벌 468 
4. 관련문제 469 
제4절 간접정범 §35 
Ⅰ.  간접정범의 개념과 특징 472 
1. 간접정범의 개념 472 
2. 간접정범의 특징 472 
Ⅱ.  간접정범의 성립요건과 범위 473 
1. 이용행위 473 
2. 피이용자의 행위 474 
3. 범죄행위의 결과발생 479 
Ⅲ.  간접정범의 실행의 착수시기 480 
1. 견해의 대립 480 
2. 결  어 480 
Ⅳ.  간접정범의 처벌 480 
Ⅴ.  관련문제 481 
1. 간접정범의 착오 481 
2. 교사를 초과하는 부분에 대한 간접정범의 성립여부 482 
Ⅵ.  자 수 범 482 
1. 자수범의 개념 482 
2. 자수범의 인정여부 482 
Ⅶ.  통설에 대한 비판 및 공범형 간접정범 484 
1. 공범형 간접정범의 의의 484 
2. 공범형 간접정범의 성립요건 486 
3. 공범형 간접정범의 실행의 착수시기 488 
4. 공범형 간접정범의 처벌 488 
5. 공범형 간접정범의 착오 488 
6. 자 수 범 489 
제5절 공범과 신분 §36 
Ⅰ.  신분과 신분범 489 
1. 형법 제33조 489 
2. 신분의 개념과 종류 490 
Ⅱ.  제33조의 해석론 493 
1. 본문과 단서의 적용범위 493 
2. 본문과 단서의 성격 496 
3. 학설의 종합 497 
Ⅲ.  제33조의 합리적 해석론 498 
1. 제33조 본문과 단서의 적용범위 498 
2. 제33조 단서의 해석 498 
Ⅳ.  제33조의 구체적 적용 500 
1. 진정신분범의 경우 500 
2. 부진정신분범의 경우 501 
Ⅴ.  소극적 신분과 공범 502 
1. 소극적 신분과 제33조의 적용문제 502 
2. 불구성적 신분 503 
3. 위법조각신분의 경우 504 
4. 책임조각신분의 경우 504 
Ⅵ.  입 법 론 504 
제6절 필요적 공범 §37 
Ⅰ.  필요적 공범의 개념 505 
Ⅱ.  필요적 공범의 분류 506 
1. 집 합 범 506 
2. 대 향 범 507 
Ⅲ.  필요적 공범에 대한 임의적 공범규정의 적용문제 507 
1. 필요적 공범 내부의 경우 507 
2. 필요적 공범의 구성원이 아닌 경우 508 
Ⅳ.  합 동 범 510 
1. 형법규정 510 
2. 합동범의 법적 성격 510 
3. 합동범의 성립요건 512 
4. 합동범에 대한 총칙상 공범규정의 적용 513 
제7절 동 시 범 §38 
Ⅰ.  동시범의 개념 514 
Ⅱ.  동시범의 특징 514 
Ⅲ.  제19조의 적용요건 515 
1. 행위의 주체 515 
2. 행위의 객체 516 
3. 시간적 동일성 516 
4. 장소적 동일성 516 
5. 범인들 사이에 의사연락이 없을 것 516 
6. 결과가 발생할 것 517 
7. 원인된 행위가 판명되지 않을 것 517 
Ⅳ.  동시범의 효과 517 
1. 형법 제19조 517 
2. 상해죄의 동시범 특례 517 
 
제7장  죄 수 론 
제1절 죄수의 일반이론 §39 
Ⅰ.  죄수론의 의의 519 
Ⅱ.  죄수결정의 기준 520 
1. 죄수결정의 중요성 520 
2. 죄수결정기준에 관한 학설 520 
3. 판  례 522 
4. 결  어 522 
Ⅲ.  죄수의 종류 524 
제2절 일  죄 §40 
Ⅰ.  일죄의 개념 및 종류 524 
Ⅱ.  법조경합 525 
1. 법조경합의 개념 525 
2. 법조경합의 종류 525 
3. 법조경합의 효과 533 
Ⅲ.  포괄일죄 534 
1. 포괄일죄의 개념 534 
2. 포괄일죄의 종류 534 
3. 포괄일죄의 효과 541 
Ⅳ.  누  범 543 
1. 누범의 의의 543 
2. 누범의 요건 544 
3. 누범의 효과 546 
4. 누범가중의 문제점 547 
 
제3절 수  죄 §41 
Ⅰ.  수죄의 개념 및 처벌방식 549 
1. 수죄의 개념 및 종류 549 
2. 수죄의 처벌방식 550 
Ⅱ.  상상적 경합 551 
1. 상상적 경합의 개념 551 
2. 상상적 경합의 법적 성격 551 
3. 상상적 경합의 요건 552 
4. 상상적 경합의 효과 557 
Ⅲ.  실체적 경합범 558 
1. 실체적 경합범의 의의 558 
2. 실체적 경합범의 요건 559 
3. 실체적 경합범의 효과 561 
 
 
 
제3편 형 벌 론 
 
제1장  형  벌 
제1절 형벌의 의의 §42 
1. 형벌과 형사제재 567 
2. 형벌의 목적 569 
제2절 형벌의 종류 §43 
Ⅰ.  사  형 571 
1. 사형의 개념 및 사형제도의 연혁 571 
2. 형법상의 사형규정 571 
3. 사형존폐론 573 
4. 판례의 입장 576 
Ⅱ.  자 유 형 576 
1. 자유형의 개념 및 연혁 576 
2. 자유형의 종류 577 
3. 자유형의 개선방안 578 
Ⅲ.  명 예 형 580 
1. 명예형의 개념 및 종류 580 
2. 자격상실 580 
3. 자격정지 580 
Ⅳ.  재 산 형 581 
1. 재산형의 개념 및 종류 581 
2. 벌  금 582 
3. 과  료 585 
4. 몰  수 585 
제3절 양  형 §44 
Ⅰ.  양형의 의의 592 
1. 양형의 개념 592 
2. 양형의 중요성 593 
3. 양형의 법적 성격 593 
Ⅱ.  양형과 책임 및 형벌목적 594 
1. 양형과 책임 594 
2. 양형에서 책임과 예방의 관계 595 
Ⅲ.  양형의 단계 및 양형조건 596 
1. 양형의 단계 596 
2. 형의 가중 및 감경 598 
3. 양형의 조건(양형참작사항) 602 
Ⅳ.  양형론의 과제 및 양형의 개선방안 604 
1. 양형론의 과제 604 
2. 양형의 개선방안 605 
Ⅴ.  형의 면제, 판결선고전 구금일수의 통산, 판결의 공시 607 
1. 형의 면제 607 
2. 판결선고전 구금일수의 통산 607 
3. 판결의 공시 608 
제4절 선고유예, 집행유예, 가석방 §45 
Ⅰ.  선고유예 609 
1. 선고유예의 의의 609 
2. 선고유예의 요건 610 
3. 보호관찰부 선고유예 612 
4. 선고유예의 실효 612 
5. 선고유예의 효과 613 
Ⅱ.  집행유예 613 
1. 집행유예의 의의 613 
2. 집행유예의 요건 614 
3. 집행유예와 보호관찰, 사회봉사․수강명령 616 
4. 집행유예의 실효 및 취소 617 
5. 집행유예의 효과 619 
Ⅲ.  가 석 방 620 
1. 가석방의 의의 620 
2. 가석방의 요건 621 
3. 가석방기간 및 보호관찰 622 
4. 가석방의 실효 및 취소 622 
5. 가석방의 효과 623 
제5절 형의 시효 및 소멸과 기간 §46 
Ⅰ.  형의 시효 624 
1. 형의 시효의 의의 624 
2. 형의 시효기간 624 
3. 형의 시효의 정지와 중단 624 
4. 형의 시효완성의 효과 625 
Ⅱ.  형의 소멸 626 
1. 형의 소멸의 의의 626 
2. 형의 실효 626 
3. 복  권 627 
Ⅲ.  기  간 628 
 
제2장  보안처분 §47 
Ⅰ.  보안처분의 의의 629 
1. 보안처분의 개념 629 
2. 보안처분의 연혁 629 
3. 보안처분의 종류 631 
Ⅱ.  보안처분의 법적 성격 631 
1. 보안처분과 형벌 631 
2. 보안처분의 위헌성 634 
Ⅲ.  치료감호 635 
1. 치료감호의 의의 635 
2. 치료감호의 요건 635 
3. 치료감호의 내용 637 
Ⅳ.  치료명령 638 
1. 치료명령의 의의 638 
2. 치료명령대상자 639 
3. 치료명령의 요건 및 기간 639 
4. 치료명령의 절차 및 집행 639 
5. 치료명령대상자의 준수사항 639 
Ⅴ.  보호관찰 640 
1. 보호관찰의 의의 640 
2. 보호관찰대상자 640 
3. 보호관찰의 내용 640 
4. 보호관찰의 기간 및 종료 640 
Ⅵ.  보안관찰 641 
1. 보안관찰의 의의 641 
2. 보안관찰의 내용 641 
 
❚판례색인 643 
❚사항색인 657

상품정보 제공고시
게시판 성격과 다른내용의 글을 등록하실 경우 임의로 삭제처리 될 수 있습니다. 기대평가 입력하기 기대평가 전체보기
★ 게시판 성격과 다른내용의 글을 등록하실 경우 임의로 삭제처리 될 수 있습니다.
★ 개정판의 경우 구판에 관한 후기가 있으므로 작성일을 확인해 주세요.
이용후기 입력하기 이용후기 전체보기
★ 상품문의외 주문시 요청사항은 처리되지 않으며 삭제됩니다. 1:1문의/고객게시판을 이용해 주세요.★ 상품문의 입력하기
배송안내
반품/교환/AS안내
이 상품 관련상품
  • 다시 문학을 사랑한다면 - 잃어버린 감수성을 찾아 떠나는 열아홉 번의 문학 여행
    다시 문학을 사랑한다면 - 잃어버린 감수성을 찾아 떠나는 열아홉 번의 문학 여행
    19,000 17,100
    10% 1%
  • 품절
    이어령의 마지막 수업
    이어령의 마지막 수업
    16,500 14,850
    10% 5%
  • 권재문 민법강의: 채권총론
    권재문 민법강의: 채권총론
    39,000 39,000
    1%
  • 정영철 건설.부동산공법론(제2판)
    정영철 건설.부동산공법론(제2판)
    47,000 47,000
    1%
  • 회사법 강의
    회사법 강의
    20,000 20,000
    1%
  • 내면소통 - 삶의 변화를 가져오는 마음근력 훈련
    내면소통 - 삶의 변화를 가져오는 마음근력 훈련
    33,000 29,700
    10% 5%
  • 지원림 민법강의(제22판)
    지원림 민법강의(제22판)
    76,000 76,000
    1%
  • 사고와 표현
    사고와 표현
    15,500 15,500
    1%
제휴카페 B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