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본 상품 (0)
  • 정진천 경찰학 기출 총정리(제4판)
    정진천 경찰학 기출 총정리(제4판)
    48,600
  • 2025 신경향 이동기 영어 기적의 특강
    2025 신경향 이동기 영어 기적의 특강
    13,500
1/4
정진천 경찰학 기출 총정리(제4판)
무료배송
정진천 경찰학 기출 총정리(제4판)
10.0
  • 이용후기 1
  • 상품문의 0
  • 정가
    54,000
  • 판매가
    48,600 10%
  • 적립금
    486원 (배송완료시 지급/이용후기 작성시 50원 지급) 1%
  • 배송비
    무료배송(우체국택배)
  • 소득공제
    추가 소득공제 가능 도서(자세히 보기)
  • 혜택
    [2025년 7월] 신용카드 무이자할부 이벤트
    [2025년 7월] 신용카드 무이자할부 이벤트 더보기+

    2025년 7월 카드사 무이자 할부 혜택 안내

    EVENT 01. 카드사 무이자 할부

    기간 카드사 할부적용 금액 할부개월 신청방법 비고
    25.07.01
    ~25.07.31
    현대카드 5만원 이상 2~3개월 별도 신청
    없이 적용
    PG업종만 제공
    롯데카드 2~5개월
    국민카드 2~5개월
    신한카드 2~3개월
    삼성카드 2~3개월
    비씨카드 2~5개월
    우리카드 2~5개월
    NH카드 2~6개월
    하나카드 2~5개월
    광주카드 2~7개월

    EVENT 02. 부분 무이자 할부

    기간 카드사 할부개월 고객부담 면제 비고
    25.07.01
    ~25.07.31
    삼성카드 7개월 1~3회차 잔여회차 면제 별도 신청 없이 적용
    11개월 1~5회차
    23개월 1~10회차
    현대카드 10개월 1~5회차 잔여회차 면제 별도 신청 없이 적용
    12개월 1~6회차
    신한카드 7개월 1~3회차 잔여회차 면제 별도 신청 없이 적용
    9개월 1~4회차
    11개월 1~5회차
    23개월 1~10회차
    국민카드 6개월 1~3회차 잔여회차 면제 별도 신청 없이 적용
    10개월 1~5회차
    하나카드 6개월 1~3회차 잔여회차 면제 별도 신청 없이 적용
    10개월 1~4회차
    12개월 1~5회차
    18개월 1~8회차
    BC카드 10개월 1~4회차 잔여회차 면제 별도 신청 없이 적용
    12개월 1~5회차
    우리카드 10개월 1~4회차 잔여회차 면제 별도 신청 없이 적용
    12개월 1~5회차
    NH카드 7개월~10개월 1~3회차 잔여회차 면제 별도 신청 없이 적용
    12개월 1~4회차
    18개월 1~5회차
    24개월 1~6회차

     ■ 유의사항

    수협BC카드의 경우 BC카드 부분무이자 혜택에서 적용 제외됩니다.

    개인사업자/법인/체크/선불/기프트/하이브리드/토스카드/은행계열카드는 적용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은행계열카드 : 카드 전/후면에 BC마크가 없는 카드 (예. 제주 등)

    BC카드 및 NH농협 카드의 경우 사전 신청 고객에 한하여 금액에 따른 부분 무이자 우대 회차 적용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카드사 홈페이지 혹은 ARS 문의 바랍니다. ( BC : 1899-5772 / NH농협 : 1644-2009 )

    무이자 할부 결제 시 포인트, 마일리지 등 다른 혜택과 중복 적용 되지 않습니다.

    당사 대표 가맹점이 아닌 직계약(자체) 가맹점, 신규 가맹점 등 일부는 적용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PG업종에만 해당하는 무이자로 이 외 업종은 적용 불가 합니다. (제약, 등록금, 도시가스 등)

    하나카드는 PG업종 외 TASF 취급수수료, 환금성(상품권), 학원, 면세점, 보험업종 등의 경우 적용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본 행사는 카드사 사정에 따라 변경 또는 중단될 수 있습니다.

  • 저자
  • 출판사
  • 발행일
    2024-12-06(교재 판권에 표기된 발행일이며 실제 발행일과 다릅니다)
  • 판형
    전2권/210x270/621+406p
  • ISBN
    9791166188541
    ?
    ISBN이란?
    국제표준도서번호(International Standard Book Number)로서, 국제적으로 표준화된 방법에 따라 전세계에서 생산되는 도서에 부여된 고유번호를 말합니다.
총 상품금액 0
상세소개

개정4판 개정판을 내며...


개정3판에서는 최근 3년간의 출제의 방향성과 문제유형을 직접 손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진도별로 구성하고 plus 7개년으로 개편 전의 문제도 보강할 수 있도록 진도별로 구성했었다. 순서대로 보기만 하면 출제 유형의 변화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어 학생들의 반응이 좋았다.
이번 개정에서는 기존에 큰 틀은 이어가되 학생들의 요청사항을 반영하여 기존 7개년, 3개년을 총론과 각론으로 크게 나누고 각 권 안에서 7개년과 3개년으로 진도별 분류를 하였다. 기존에 두 권을 모두 가지고 다녀야 했던 불편함이 해소 되었을 것이라 믿는다.
이외 내용적 측면에서 이번 25대비 개정판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21년~15년 사이에 출제된 문제들을 plus+ 7개년에 구성을 했고 24년~22년에 출제된 문제들을 최신3개년에 구성했다.
2. ‘plus+ 7개년’은 기본적으로 알아야 할 내용들이라고 생각하여 총론과 각론의 전반부에 배치를 했고 ‘최신3개년’은 기본 내용의 응용과 새로운 것들이 주를 이루기 때문에 기본을 쌓은 후 볼 수 있도록 교재 후반부에 배치를 했다.


3. plus+ 7개년은 절 이하의 목차도 적용하여 기본서 페이지를 적어 놓아 기본서 내용을 찾을 때 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했고 중요 내용은 요약정리를 해서 기본서를 찾아보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도록 하였다. 또 최신 3개년에서는 plus+ 7개년에서 정리한 요약 내용은 모두 삭제하여 새로운 주제나 7개년에 없는 내용만 요약 정리할 수 있도록 중복을 최소화 하였다.


4. 24승진, 24’2차 25’경간문제까지 반영하였고 개정된 내용을 모두 반영하여 기존 문제 및 해설을 수정하였다.


5. 오지문의 키워드 밑줄이나 암기해야 할 두문자 표시를 일관성 있게 정리했다.


마지막으로 이번에도 어김없이 교재가 나올 수 있도록 도와주신 윌비스 원성일 수석님과 권윤주 차장님 이하 팀원 분들에게 감사하다는 마음을 본지를 빌어 전한다.
정진천과 정진(精進)하면 반드시 합격(合格)합니다!


2024년 11월
편저자 정 진 천

목차
[1권 총론] 
 
제1부∙PLUS+7개년 (2021년~2015년) 
 
제1편∣경찰학의 기초 
제1장 경찰의 의의와 경찰개념의 형성 및 변천  4 
제1절 경찰의 의의  4 
1. 경찰의 어원  4 
2. 경찰의 개념  4 
제2절 경찰개념의 형성 및 변천  4 
1. 대륙법계와 영⋅미 법계의 비교  4 
2. 대륙법계 국가의 경찰개념의 변천  5 
3. 경찰의 임무를 소극목적에 한정한 법과 판례  7 
4. 영⋅미 법계의 경찰개념  11 
5. 우리나라 경찰개념의 형성  11 
제2장 경찰의 종류  12 
제1절 형식적 의미의 경찰, 실질적 의미의 경찰  12 
1. 형식적 의미의 경찰  12 
2. 실질적 의미의 경찰  12 
3. 형식적 의미의 경찰과 실질적 의미의 경찰의 비교  13 
제2절 경찰의 분류  17 
1. 개관  17 
2. 구체적 검토  21 
제3장 경찰의 임무와 수단  24 
제1절 경찰의 임무  24 
1. 법률상 경찰의 임무(직무)와 경찰의 사무  24 
2. 경찰의 기본적 임무  24 
제2절 경찰의 수단  32 
제3절 경찰권과 경찰의 관할  33 
1. 경찰활동의 기초 (경찰권)  33 
2. 경찰권과 관할  33 
제4장 경찰의 기본이념  37 
1. 민주주의  37 
2. 법치주의  37 
3. 인권존중주의  37 
4. 정치적 중립주의  37 
5. 경영주의  37 
▸종합문제  37 
제5장 경찰과 윤리  39 
제1절 경찰윤리교육의 접근법과 교육목적  39 
1. 경찰윤리교육의 접근  39 
2. 경찰윤리교육의 목적 (클라이니히의 분류)  39 
3. 악법에 대한 견해  39 
제2절 바람직한 경찰의 모델과 전문직업화  39 
1. 개설  39 
2. 바람직한 경찰의 모델  39 
3. 경찰의 전문직업화  39 
제3절 경찰문화  40 
1. 경찰문화의 특징  40 
2. 대내적⋅대외적 특징  40 
3. 냉소주의 (cynicism)  40 
제4절 경찰인의 윤리표준과 경찰활동의 기준  41 
1. 경찰인의 윤리표준의 근거  41 
2. 사회계약사상의 비교  41 
3. 사회계약설로부터 도출되는 경찰활동의 기준 (Cohen & Feldberg)  42 
제5절 경찰의 일탈  43 
1. 경찰윤리이론  43 
2. 경찰 부패이론  43 
3. 경찰부패의 원인 (델라트르의 정리)  44 
4. 경찰부패에 대한 내부고발  50 
제6절 경찰윤리강령  50 
1. 한국의 경찰윤리강령  50 
2. 윤리강령의 기능과 문제점  52 
제7절 「경찰청 공무원 행동강령」  53 
1. 총칙  53 
2. 공정한 직무수행  53 
3. 부당이득의 수수금지  54 
4.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55 
5. 위반 시의 조치  55 
6. 보칙  55 
제8절 「부정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  55 
1. 총칙  55 
2. 부정청탁의 금지 등  57 
3. 금품 등의 수수 금지 등  57 
4. 외부강의  60 
5. 위반행위의 신고 등  60 
6. 징계 및 벌칙  60 
제9절 공직자의 이해충돌 방지법 (약칭:이해충돌방지법)  61 
1. 목적과 정의  61 
2. 공직자의 이해충돌 방지 및 관리  61 
3. 이해충돌 방지에 관한 업무의 총괄 등  61 
4. 징계 및 벌칙  61 
제6장 경찰의 적극행정과 소극행정  62 
제1절 적극행정  62 
1. 적극행정의 근거규정  62 
2. 적극행정의 판단기준  62 
3. 적극행정의 대상⋅범위⋅유형  62 
4. 적극행정의 징계면제 제도  62 
5. 적극행정 운영규정(대통령령)  62 
6. 경찰청 적극행정 면책제도 운영규정(경찰청 훈령)  62 
제2절 소극행정  62 
1. 징계대상으로서의 소극행정  62 
2. 소극행정 유형 4가지  62 
제7장 범죄학 이론  63 
제1절 범죄의 개념  63 
1. 법률적 시각에서의 범죄 (법률적 개념)-하스켈(Martin R, Haskell)과 야브론스키(Lewis Yablonsky)  63 
2. 정치적 시각에서의 범죄 (낙인이론적 개념)-베커(Howard Becker)  63 
3. 사회학적 시각에서의 범죄 (해악기준의 개념)  63 
제2절 범죄원인론  63 
1. Sheley의 범죄유발 4요소  63 
2. 소질과 환경_룩셈버거(Luxemburger)  63 
3. 범죄원인에 관한 이론  63 
제3절 범죄통제(예방)론  68 
1. 범죄통제의 의의  68 
2. 범죄통제(예방) 이론  68 
제4절 현대적 범죄예방이론 (생태학적 관점)  70 
1. 상황적 범죄예방이론  71 
2. 환경범죄이론  72 
3. 집합효율성 이론 (로버트 샘슨)  77 
4. 깨진 유리창 이론 (윌슨과 켈링)  78 
제8장 지역사회경찰활동 (Community Policing)  79 
제1절 전통적 경찰활동과 지역사회 경찰활동의 비교 (Malcolm K. Sparrow)   79 
제2절 지역사회 경찰활동의 구성요소  80 
1. 지역중심 경찰활동(Community-Oriented Policing:COP)  80 
2. 전략 지향적 경찰활동(Strategic-Oriented Policing:SOP)  80 
3. 이웃 지향적 경찰활동 (Neighborhood- Oriented Policing:NOP)  80 
4. 문제지향적 경찰활동 (Problem-Oriented Policing:POP)  80 
제3절 순찰  81 
1. 순찰의 목적과 기능  81 
2. 순찰의 종류  81 
 
 
제2편∣한국경찰의 역사와 비교경찰 
제1장 한국 경찰의 역사  84 
제1절 갑오개혁 이전의 경찰  84 
1. 부족국가 시대의 경찰제도  84 
2. 삼국시대의 경찰제도  84 
3. 통일신라시대의 경찰제도  84 
4. 고려시대의 경찰제도  85 
5. 조선시대(갑오개혁 이전)의 경찰제도  86 
제2절 갑오개혁부터 일제강점기 이전의 경찰  87 
1. 갑오개혁과 한국경찰의 창설  87 
2. 광무개혁(1897)에 따른 경부(警部) 경찰체제 의 출범과 좌절  88 
3. 한국 경찰권의 상실과정  89 
제3절 일제강점기 경찰시대  89 
1. 조선총독부  89 
2. 헌병경찰 시기 (1910년~1919년:무단통치시기)  89 
3. 보통경찰 시기 (1919년 3⋅1운동 이후: 문화통치시기)  90 
▸종합문제  90 
4. 강점기의 법제  90 
제4절 임시정부와 경찰  90 
1. 대한민국 임시정부 경찰의 역사적 의의  90 
2. 임시정부경찰 조직  90 
3. 임시정부경찰의 주요인물  91 
4. 임시정부경찰의 역할 및 평가  91 
제5절 미군정시기 경찰  91 
1. 미군정하의 경찰조직  91 
2. 미군정하의 경찰 주요 특징  91 
제6절 정부수립 이후 1991년 경찰법제정 이전 경찰  92 
1. 제1공화국(1948년 정부수립)과 경찰  92 
2. 제2공화국 이후의 경찰  92 
제7절 경찰법제정(1991년) 이후 경찰  93 
▸종합문제  93 
▸연혁문제  97 
제8절 한국경찰사에 길이 빛날 경찰의 표상  100 
제2장 비교경찰  106 
제1절 영국경찰  106 
1. 영국경찰의 역사  106 
2. 영국경찰의 조직  107 
3. 영국의 형사사법제도  107 
제2절 미국의 경찰  107 
1. 미국 경찰의 역사  107 
2. 경찰조직  107 
3. 미국의 형사사법제도  107 
제3절 독일의 경찰  107 
1. 독일 경찰의 역사  107 
2. 경찰조직  107 
3. 독일의 수사구조 107 
제4절 프랑스의 경찰  107 
1. 프랑스 경찰의 역사  107 
2. 프랑스 경찰조직  107 
3. 형사사법제도  107 
제5절 일본의 경찰  107 
1. 일본 경찰의 역사  107 
2. 일본 경찰법  107 
3. 일본 경찰의 조직  107 
4. 일본의 영장청구제도와 수사구조  107 
▸종합문제  108 
제6절 경찰제도의 세 가지 모델  108 
1. 토마스 바커의 경찰 모델 분류  108 
2. 구체적 검토  108 
 
 
제3편∣경찰행정법 
제1장 경찰행정법 기초  110 
제1절 경찰과 법치행정  110 
1. 법치행정 (법률에 의한 행정의 원리)  110 
2. O. Mayer의 법치행정의 하위원칙  110 
3. 법과 경찰활동의 관계  110 
제2절 경찰법의 법원  110 
1. 성문법원  110 
2. 불문법원  115 
▸종합문제  115 
제2장 경찰조직법  117 
제1절 경찰조직법 일반  117 
1. 행정주체  117 
2. 행정기관  117 
3. 경찰국  117 
제2절 경찰행정기관  117 
1. 경찰청 (국가경찰과 자치경찰의 조직 및 운영에 관한 법률)  117 
2. 국가수사본부 (국가경찰과 자치경찰의 조직 및 운영에 관한 법률)  121 
3. 시⋅도 경찰청 (국가경찰과 자치경찰의 조직 및 운영에 관한 법률)  121 
4. 경찰서 (국가경찰과 자치경찰의 조직 및 운영에 관한 법률)  121 
5. 국가경찰위원회 (국가경찰과 자치경찰의 조직 및 운영에 관한 법률)  121 
6. 시⋅도 자치 경찰위원회 (국가경찰과 자치경찰의 조직 및 운영에 관한 법률)  129 
▸종합문제  130 
제3절 경찰관청 상호간의 관계  132 
1. 훈령권  132 
2. 직무명령  134 
제4절 권한의 대리⋅위임⋅대결  137 
1. 임의대리  137 
2. 법정대리  137 
3. 복대리  137 
4. 위임  137 
▸종합문제  137 
5. 내부위임⋅위임전결⋅대결  140 
6. 행정권한의 위임 및 위탁에 관한 규정 (행정위임위탁규정_대통령령)  141 
7. 직무대리규정(대통령령)  143 
8. 경찰청 직무대리 운영규칙(경찰청훈령)  143 
제3장 경찰공무원법  144 
제1절 개설  144 
1. 국가공무원법과 경찰공무원법  144 
2. 공직의 분류  144 
제2절 경찰공무원의 분류  144 
1. 계급  144 
2. 경과  144 
3. 전문직위 (공무원임용령, 경찰공무원임용령)  147 
▸종합문제  147 
제3절 경찰 인사기관과 그 권한  148 
1. 임용권자 (경찰공무원법)  148 
2. 임용권의 위임과 임용시기 (경찰공무원 임용령)  149 
3. 경찰공무원인사위원회  150 
▸종합문제  151 
제4절 경찰공무원 관계의 성립⋅변경⋅소멸  153 
1. 경찰공무원 관계의 성립  153 
2. 경찰공무원 관계의 변경  159 
3. 경찰공무원 관계의 소멸  169 
제5절 경찰공무원의 권리  171 
1. 신분상의 권리  171 
2. 재산상의 권리  172 
제6절 경찰공무원의 의무  172 
1. 일반의무 (국가공무원법)  174 
2. 직무상의 의무  175 
3. 신분상의 의무  177 
▸종합문제  178 
제7절 경찰공무원의 책임  182 
1. 징계사유 (국가공무원법)  182 
2. 징계 및 징계부가금 부과 사유의 시효 등 (국가공무원법)  183 
3. 징계의 종류 및 효과 (경찰공무원징계령 제2조)  183 
4. 징계권자 (경찰공무원법)  185 
5. 징계 위원회  186 
6. 징계절차 (경찰공무원 징계령)  188 
7. 정상참작 사유 (경찰공무원 징계령 세부시행규칙)  192 
8. 감사원의 조사와의 관계 등 (국가공무원법)  193 
9. 징계의 집행 (경찰공무원 징계령)  193 
제8절 경찰공무원의 권익보장  193 
1. 처분사유서의 교부 (국가공무원법)  193 
2. 고충심사위원회 (경찰공무원법)  194 
3. 성희롱⋅성폭력 근절을 위한 공무원 인사관리규정  195 
4. 소청심사  196 
5. 행정소송  200 
제4장 경찰작용법  201 
제1절 경찰작용법 개설  201 
1. 경찰작용법의 의의  201 
2. 경찰작용의 근거  201 
3. 경찰권발동의 한계  201 
4. 경찰개입청구권  205 
제2절 행정기본법  207 
1. 총칙  206 
2. 행정법의 법 원칙  206 
3. 행정작용  206 
4. 행정의 입법활동 등  206 
제3절 행정행위  206 
1. 행정행위의 개설  206 
2. 행정행위의 개념요소  206 
3. 행정행위의 종류  206 
4. 행정행위의 내용  206 
5. 행정행위의 부관  209 
6. 행정행위의 효력  211 
7. 행정행위의 하자  211 
8. 행정행위의 철회  213 
9. 행정행위의 실효  214 
제4절 행정상 사실행위  214 
1. 의의  214 
2. 유형  214 
3. 구제  214 
4. 행정지도 (행정절차법)  214 
제5절 경찰상 의무이행 확보수단  216 
1. 개관  216 
2. 행정상강제  217 
3. 행정조사(행정조사기본법)  224 
4. 경찰벌  224 
5. 경찰질서벌(질서위반행위규제법)  225 
제6절 경찰관직무집행법  228 
▸종합문제  250 
제7절 위해성 경찰장비의 사용기준 등에 관한 규정  257 
제8절 경찰 물리력 행사의 기준과 방법에 관한 규칙  265 
1. 총칙  265 
2. 대상자의 행위 및 물리력 사용정도  265 
3. 분사기 사용  269 
4. 전자충격기 사용  269 
5. 권총사용  269 
제5장 경찰구제법  270 
제1절 행정구제 개설  270 
1. 행정구제의 개념  270 
2. 권리구제 시점에 따른 행정구제제도의 구분  270 
제2절 행정절차법  270 
1. 행정절차법의 기본적 내용  270 
2. 총칙  270 
3. 처분  270 
4. 신고, 확약 및 위반사실 등의 공표 등  270 
5. 행정상 입법예고  270 
6. 행정예고  270 
제3절 행정상 손해전보  270 
1. 손해배상  270 
2. 손실보상  276 
제4절 행정쟁송  276 
1. 행정쟁송 개관  276 
2. 행정소송  277 
3. 행정심판(행정심판법)  280 
 
 
 
제4편∣경찰행정학 
제1장 경찰관리론  286 
제1절 경찰관리 일반  286 
1. 경찰관리의 의의  286 
2. 경찰관리자  286 
3. 경찰기획과 정책결정  286 
제2절 경찰조직관리  286 
1. 경찰조직상의 이념  286 
2. 관료제  286 
3. 경찰조직의 편성원리  286 
제3절 인사관리  294 
1. 의의 및 목적  294 
2. 직업공무원제도  294 
3. 엽관주의와 실적주의 (인사관리의 2대 원리)  294 
4. 공직의 분류 (계급제와 직위분류제)  295 
5. 근무성적평정 (경찰공무원승진임용규정)  298 
제4절 사기관리  298 
1. 사기관리의 의의  298 
2. 동기부여이론(motivation theory)  298 
제5절 예산관리  301 
1. 경찰예산의 의의  301 
2. 예산의 구분  301 
3. 예산제도  301 
4. 예산의 과정  305 
제6절 기타관리  311 
1. 물품관리  311 
2. 주요 장비관리  312 
3. 보안관리  318 
제7절 문서관리  327 
1. 행정업무의 운영 및 혁신에 관한 규정(대통령령)  327 
2. 행정 효율과 협업 촉진에 관한 규정 시행규칙(행정안전부령)  327 
제8절 경찰홍보  327 
1. 경찰홍보의 의의  327 
2. 경찰홍보의 전략  327 
3. 경찰홍보의 유형  328 
4. 언론보도와 피해구제 (언론중재 및 피해구제 등에 관한 법률)  330 
제2장 경찰통제론  337 
제1절 경찰통제 일반  337 
1. 경찰통제의 의의 및 필요성  337 
2. 경찰통제의 기본요소  337 
3. 행정정보공개제도(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  338 
4. 정보보호제도(개인정보 보호법)  346 
제2절 통제의 유형 및 장치  346 
1. 민주적 통제와 사법적 통제  346 
2. 사전통제와 사후통제  346 
3. 내부통제와 외부통제  346 
제3절 경찰감찰과 경찰행정사무감사  351 
1. 경찰 감찰 규칙(경찰청훈령)  351 
2. 경찰청 감사 규칙(경찰청훈령)  357 
제4절 국민의 인권보장과 경찰통제  359 
1. 인권의 이해  359 
2. 인권의 특성  359 
3. 인권의 유형  359 
4. 경찰의 인권시책 흐름  359 
5. 구금⋅보호시설의 방문조사  359 
6. 경찰 인권보호 규칙 (경찰청훈령)  359 
7. 경찰관 인권행동강령 (경찰청훈령)  362 
제3장 한국경찰의 향후 과제  363 
제1절 행정개혁  363 
제2절 행정개혁의 추진전략  363 
1. 개혁의 폭과 속도  363 
2. 추진방향  363 
제3절 행정개혁에 대한 저항의 극복 방안(A. Etzioni)  363 
 
제2부∙최신 3개년 24~22 
 
 
제1편∣경찰학의 기초 
제1장 경찰의 의의와 경찰개념의 형성 및 변천  370 
제1절 경찰의 의의  370 
제2절 경찰개념의 형성 및 변천  371 
제2장 경찰의 종류  375 
제1절 형식적 의미의 경찰, 실질적 의미의 경찰  375 
제2절 경찰의 분류  378 
제3장 경찰의 임무와 수단  382 
제1절 경찰의 임무  382 
제2절 경찰의 수단  388 
제3절 경찰권과 경찰의 관할  388 
제4장 경찰의 기본이념  391 
제5장 경찰과 윤리  393 
제1절 경찰윤리교육의 접근법과 교육목적  393 
1. 경찰윤리교육의 접근  393 
2. 경찰윤리교육의 목적 (클라이니히의 분류)  393 
3. 악법에 대한 견해  393 
제2절 바람직한 경찰의 모델과 전문직업화  394 
제3절 경찰문화  395 
제4절 경찰인의 윤리표준과 경찰활동의 기준  396 
제5절 경찰의 일탈  398 
제6절 경찰윤리강령  404 
제7절 「경찰청 공무원 행동강령」  406 
제8절 「부정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  407 
제9절 공직자의 이해충돌 방지법 (약칭:이해충돌방지법)  411 
제6장 경찰의 적극행정과 소극행정  415 
제1절 적극행정  415 
제2절 소극행정  418 
제7장 범죄학 이론  419 
제1절 범죄의 개념  419 
제2절 범죄원인론  419 
제3절 범죄통제(예방)론  422 
제4절 현대적 범죄예방이론 (생태학적 관점)  423 
제8장 지역사회경찰활동 (Community Policing)  430 
제1절 전통적 경찰활동과 지역사회 경찰활동의 비교 (Malcolm K. Sparrow)   430 
제2절 지역사회 경찰활동의 구성요소  431 
제3절 순찰  437 
 
 
 
제2편∣한국경찰의 역사와 비교경찰 
제1장 한국 경찰의 역사  440 
제1절 갑오개혁 이전의 경찰  440 
제2절 갑오개혁부터 일제강점기 이전의 경찰  440 
제3절 일제강점기 경찰시대  440 
제4절 임시정부와 경찰  441 
제5절 미군정시기 경찰  441 
제6절 정부수립 이후 1991년 경찰법제정 이전 경찰  442 
제7절 경찰법제정(1991년) 이후 경찰  442 
▸종합문제  443 
▸연혁문제  446 
제8절 한국경찰사에 길이 빛날 경찰의 표상  448 
제2장 비교경찰  451 
제1절 영국경찰  451 
제2절 미국의 경찰  452 
제3절 독일의 경찰  452 
제4절 프랑스의 경찰  452 
제5절 일본의 경찰  453 
▸종합문제  453 
제6절 경찰제도의 세 가지 모델  455 
 
 
 
제3편∣경찰행정법 
제1장 경찰행정법 기초  458 
제1절 경찰과 법치행정  458 
제2절 경찰법의 법원  459 
제2장 경찰조직법  465 
제1절 경찰조직법 일반  465 
제2절 경찰행정기관  465 
▸종합문제  475 
제3절 경찰관청 상호간의 관계  479 
제4절 권한의 대리⋅위임⋅대결  480 
제3장 경찰공무원법  482 
제1절 개설  482 
제2절 경찰공무원의 분류  482 
제3절 경찰 인사기관과 그 권한  482 
제4절 경찰공무원 관계의 성립⋅ 변경⋅소멸  485 
▸종합문제  493 
제5절 경찰공무원의 권리  494 
제6절 경찰공무원의 의무  495 
제7절 경찰공무원의 책임  498 
제8절 경찰공무원의 권익보장  502 
제4장 경찰작용법  505 
제1절 경찰작용법 개설  505 
제2절 행정기본법  510 
제3절 행정행위  512 
제4절 행정상 사실행위  517 
제5절 경찰상 의무이행 확보수단  518 
제6절 경찰관직무집행법  526 
▸종합문제  546 
제7절 위해성 경찰장비의 사용기준 등에 관한 규정  550 
제8절 경찰 물리력 행사의 기준과 방법에 관한 규칙  551 
제5장 경찰구제법  555 
제1절 행정구제 개설  555 
제2절 행정절차법  555 
제3절 행정상 손해전보  557 
제4절 행정쟁송  562 
 
 
 
제4편∣경찰행정학 
제1장 경찰관리론  570 
제1절 경찰관리 일반  570 
제2절 경찰조직관리  572 
제3절 경찰인사관리  577 
제4절 사기관리  581 
제5절 경찰예산관리  584 
제6절 기타관리  589 
제7절 문서관리  595 
제8절 경찰홍보  597 
제2장 경찰통제론  601 
제1절 경찰통제 일반  601 
제2절 통제의 유형 및 장치  608 
제3절 경찰감찰과 경찰행정사무감사  611 
제4절 국민의 인권보장과 경찰통제  613 
제3장 한국경찰의 향후 과제  619 
제1절 행정개혁  619 
제2절 행정개혁의 추진전략  619 
제3절 행정개혁에 대한 저항의 극복 방안(A. Etzioni)  619 
 
 
 
[2권 각론] 
제1부∙PLUS+7개년 (2021년~2015년) 
 
 
제1편∣분야별 경찰활동 
제1장 생활안전경찰  6 
제1절 지역경찰활동  6 
1. 지역경찰의 조직 및 운영에 관한 규칙 (경찰청예규)  6 
2. 112신고의 운영 및 처리에 관한 법률 (112신고처리법)  12 
3. 112신고의 운영 및 처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12 
4. 112치안종합상황실 운영 및 신고처리 규칙  13 
5. 경비업법  15 
제2절 생활질서업무  20 
1. 풍속사범의 단속  20 
2. 성매매알선 등 행위의 처벌에 관한 법률  23 
3. 기초질서 위반 사범의 단속  25 
4. 즉결심판에 관한 절차법  31 
5. 총포⋅도검⋅화약류 단속 (총포⋅도검⋅화약류 등의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31 
6. 유실물 관리  33 
제3절 청소년 및 여성 보호  34 
1. 소년경찰업무  34 
2. 청소년보호법  35 
3. 아동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  40 
제4절 실종아동 등의 보호 및 지원  43 
1. 용어의 정의  43 
2. 보호 및 지원 절차  48 
제2장 수사경찰  52 
제1절 수사의 기본개념  52 
1. 의의  52 
2. 수사실행의 5대 원칙  52 
3. 수사의 일반적 조건  54 
4. 수사기관  55 
제2절 범죄수사의 과정  56 
1. 내사  56 
2. 수사개시(입건)  56 
3. 수사의 단서  57 
4. 수사실행  59 
5. 수사종결  64 
제3절 강제수사  67 
1. 압수⋅수색  67 
2. 체포⋅구속 (형사소송법)  69 
3. 통신수사  70 
제4절 범죄감식  72 
1. 범죄 감식  72 
2. 지문  72 
3. 「디엔에이신원확인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74 
4. 폴리그래프 검사 (과학수사 기본규칙)  75 
5. 법의학  75 
제5절 수사행정  78 
1. 유치인 보호  78 
2. 호송(피의자 유치 및 호송규칙)  78 
3. 주요 강력범죄 출소자 등에 대한 정보수집에 관한 규칙  81 
4. 경찰수사사건 등의 공보에 관한 규칙  81 
5. 특정중대범죄 피의자 등 신상정보 공개에 관한 법률  82 
제6절 범죄피해자 등 보호 대책  82 
1. 「범죄피해자 보호법」  82 
2. 「특정범죄신고자 등 보호법」  82 
3. 「발달장애인 권리보장 및 지원에 관한 법률」  82 
제7절 각 기능별 수사  82 
1. 성폭력사건 수사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82 
2. 가정폭력범죄 수사 (가정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86 
3. 아동학대 범죄수사  96 
4. 스토킹범죄(스토킹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법률)  102 
5. 학교폭력(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 / 약칭:학교폭력예방법)  102 
6. 마약사범 수사 (마약류관리에 관한 법률)  105 
7. 사이버 범죄수사  109 
제3장 경비경찰  112 
제1절 경비경찰일반  112 
1. 경비경찰의 개념  112 
2. 경비경찰 활동의 대상  114 
3. 경비경찰의 특징  114 
4. 경비경찰의 근거와 한계  116 
5. 경비경찰의 조직 및 수단  117 
제2절 경비경찰의 주요대상  120 
1. 행사안전경비(혼잡경비)  120 
2. 선거경비  123 
3. 재난경비  125 
4. 국가중요시설경비  128 
5. 집회 및 시위의 관리  129 
6. 경호경비  135 
7. 대테러경비  140 
8. 경찰작전  145 
제3절 청원경찰  157 
1. 민간경비의 개념  157 
2. 청원경찰  157 
제4장 교통경찰  162 
제1절 교통경찰 일반론  162 
제2절 「도로교통법」 제2조의 정의  162 
제3절 교통안전 활동  164 
1. 신호기(도로교통법)  164 
2. 신호⋅지시권자(도로교통법)  164 
3. 통행의 금지 및 제한권자 등(도로교통법)  164 
4. 교통안전표지(도로교통법 시행규칙 제8조)  164 
5. 어린이 보호 (도로교통법)  166 
제4절 보행자 및 차마⋅노면전차의 통행방법  166 
1. 보행자의 통행방법  166 
2. 차마의 통행방법  166 
3. 자전거 등  169 
4. 긴급자동차  170 
제5절 운전자 및 고용주 등의 의무  173 
1. 무면허 운전 등의 금지  173 
2. 음주⋅과로 등 운전금지  173 
3. 난폭운전 금지  186 
4. 음주운전 방지장치 부착 조건부 운전면허를 받은 운전자등의 준수 사상  186 
5. 어린이 통학버스 보호  186 
제6절 운전면허  187 
1. 운전면허의 종류  187 
2. 음주운전 방치장치 부착 조건부 운전면허  192 
3. 운전면허의 결격사유 및 발급 제한 기간  193 
4. 연습운전면허  197 
5. 운전면허증의 갱신과 정기 적성검사  198 
6. 운전면허증의 반납  198 
7. 임시운전증명서  198 
8. 국제운전면허  198 
9. 운전면허행정처분  200 
10. 통고처분 및 과태료부과처분  202 
제7절 교통사고의 처리  202 
1. 교통사고 일반  202 
2. 「도로교통법」상 사고발생시 조치의무 등  203 
3. 안전거리  203 
4. 차륜흔적과 노면 상처  204 
5. 교통사고의 처리기준  206 
제5장 정보경찰  217 
제1절 정보경찰의 이해  217 
1. 경찰정보의 개념  217 
2. 경찰정보의 법적 근거  217 
3. 정보의 질적 요건 (정보가치에 대한 평가기준)  218 
4. 정보의 효용  219 
5. 정보의 분류  219 
제2절 정보의 순환과정  222 
1. 정보의 순환단계  222 
2. 구체적 검토  224 
제3절 정보보고  231 
1. 정보의 종류 (내용에 따른 구분)  231 
2. 정보보고서의 종류  231 
3. 정보보고서의 작성  233 
4. 신원조사  233 
제4절 집회 및 시위에 관한 업무  234 
1.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법률 제17689호, 2020. 12. 22., 타법개정]  234 
2. 대화경찰  255 
3. 정보채증  255 
제6장 안보경찰활동  256 
제1절 안보경찰의 의의와 특색  256 
1. 국가안전보장의 의의  256 
2. 국가안전보장과 경찰의 역할  256 
3. 한국의 안보경찰  256 
4. 한국의 국가안전보장기관  256 
5. 보안경찰의 직무범위(경찰청과 그 소속기관직제 제22조 제3항)  256 
제2절 공산주의 이론  256 
1. 공산주의 철학이론  256 
2. 공산주의 경제이론 (마르크스의 경제이론)  256 
3. 공산주의 정치이론  257 
제3절 북한의 대남전략전술과 남한의 좌익운동  257 
1. 대남전략의 지도이념 (주체사상)  257 
2. 대남전략전술  257 
3. 대남공작기구  257 
4. 국내좌익세력  257 
제4절 방첩활동  257 
1. 개설  257 
2. 방첩의 기본원칙  257 
3. 방첩의 수단  258 
4. 방첩활동의 대상  258 
5. 공작  261 
6. 공작활동  262 
7. 심리전  264 
8. 대공상황 분석 판단  265 
제5절 안보수사  265 
1. 안보수사의 대상 (국가보안법)  265 
2. 국가보안법의 특성  269 
3. 정보사범  271 
제6절 보안관찰  271 
1. 의의 및 특성  271 
2. 보안관찰의 요건과 기간  271 
3. 보안관찰처분 결정 절차  273 
4. 보안관찰법  273 
제7절 남북교류협력  280 
1. 개관  280 
2. 남북교류협력에 관한 법률 (약칭:남북교류 협력법)  280 
제8절 북한이탈주민의 보호  282 
1. 북한이탈주민의 개념  282 
2. 정착지원  282 
3. 신변보호  282 
4. 북한이탈주민의 보호 및 정착지원에 관한 법률 (약칭:북한이탈주민법) 282 
제7장 외사경찰  290 
제1절 외사일반  290 
1. 외사경찰 업무의 법적 근거  290 
2. 대상의 특성  290 
3. 외사경찰 활동의 구분  290 
4. 국제질서에 관한 주요 견해  290 
5. 국제질서에 대한 사상의 변천순서  290 
6. 다자간 협상의 종류  290 
7. 다문화사회의 접근 유형  291 
8. 통역의 종류  293 
제2절 외사경찰의 대상  293 
1. 외국인의 의의  293 
2. 외국인의 국적 취득 (국적법)  293 
3. 외국인의 법적지위  294 
4. 내⋅외국인의 입⋅출국  295 
5. 외교사절  310 
6. 외국군대  310 
7. 외국인 등 관련범죄에 관한 특칙  310 
제3절 주한미군지위협정(SOFA) 사건 수사  311 
1. 주한미군지위협정(SOFA)의 개념  311 
2. 주한미군지위협정의 주요 내용  311 
3. 사건처리요령  311 
4. 주한미군 피의자신문조서 작성  311 
5. 주한미군지위협정 대상자 조사시 유의사항  311 
6. 미군시설 내에서의 경찰권행사  312 
7. 손해배상절차  312 
8. 美법집행기관(헌병)과 업무가 경합시 조치요령  312 
제4절 국제경찰공조  312 
1. 인터폴을 통한 경찰공조  312 
2. 국제형사사법공조  317 
3. 범죄인인도 (범죄인인도법)  319 
 
제2부∙최신3개년 (2024년~2022년) 
 
 
제1편∣분야별 경찰활동 
제1장 생활안전경찰  336 
제1절 지역경찰활동  336 
제2절 생활질서업무  342 
제3절 청소년 및 여성 보호  345 
제4절 실종아동 등의 보호 및 지원  347 
제2장 수사경찰  349 
제1절 수사의 기본개념  349 
제2절 범죄수사의 과정  349 
제3절 강제수사  351 
제4절 범죄감식  352 
제5절 수사행정  352 
제6절 범죄피해자 등 보호 대책  354 
제7절 각 기능별 수사  356 
제3장 경비경찰  368 
제1절 경비경찰일반  368 
제2절 경비경찰의 주요대상  369 
제3절 청원경찰  377 
제4장 교통경찰  378 
제1절 교통경찰 일반론  378 
제2절 「도로교통법」 제2조의 정의  378 
제3절 교통안전 활동  379 
 
제4절 보행자 및 차마⋅노면전차의 통행방법  380 
제5절 운전자 및 고용주 등의 의무  384 
제6절 운전면허  386 
제7절 교통사고의 처리  387 
제5장 정보경찰  390 
제1절 정보경찰의 이해  390 
제2절 정보의 순환과정  390 
제3절 정보보고  390 
제4절 집회 및 시위에 관한 업무  390 
제6장 안보경찰  399 
제1절 안보경찰의 의의와 특색  399 
제2절 공산주의 이론  399 
제3절 북한의 대남전략전술과 남한의 좌익운동  399 
제4절 방첩활동  399 
제5절 안보수사  399 
제6절 보안관찰  400 
제7절 남북교류협력  401 
제8절 북한이탈주민의 보호  401 
제7장 외사경찰  402 
제1절 외사일반  402 
제2절 외사경찰의 대상  402 
제3절 주한미군지위협정(SOFA) 사건 수사  406 
제4절 국제경찰공조  406

상품정보 제공고시
게시판 성격과 다른내용의 글을 등록하실 경우 임의로 삭제처리 될 수 있습니다. 기대평가 입력하기 기대평가 전체보기
★ 게시판 성격과 다른내용의 글을 등록하실 경우 임의로 삭제처리 될 수 있습니다.
★ 개정판의 경우 구판에 관한 후기가 있으므로 작성일을 확인해 주세요.
이용후기 입력하기 이용후기 전체보기
★ 상품문의외 주문시 요청사항은 처리되지 않으며 삭제됩니다. 1:1문의/고객게시판을 이용해 주세요.★ 상품문의 입력하기
배송안내
반품/교환/AS안내
이 상품 관련상품
  • 품절
    2023 정여준 경찰학 단원별 기출문제집 970
    2023 정여준 경찰학 단원별 기출문제집 970
    30,000 27,000
    10% 5%
  • 2025 서진호 경찰학 단원별 기출문제 총정리 각론 10개년 400제(단기총)
    2025 서진호 경찰학 단원별 기출문제 총정리 각론 10개년 400제(단기총)
    24,000 21,600
    10% 5%
  • 2025 서진호 경찰학 단원별 기출문제 총정리 총론 10개년 800제
    2025 서진호 경찰학 단원별 기출문제 총정리 총론 10개년 800제
    40,000 36,000
    10% 5%
  • 품절
    2023년 1차대비 ACL 김현조 경찰학 60일 예상적중문제선_STEP4
    2023년 1차대비 ACL 김현조 경찰학 60일 예상적중문제선_STEP4
    16,000 14,400
    10% 5%
  • 2025년 2차 대비 강해준 경찰학 파이널 모의고사 60일 작전
    2025년 2차 대비 강해준 경찰학 파이널 모의고사 60일 작전
    24,000 21,600
    10% 5%
  • 2023 최신간 PSK 경찰학 합격OX
    2023 최신간 PSK 경찰학 합격OX
    27,000 24,300
    10% 5%
  • 2024 ACL 김은표 한끝 경찰학 기출문제집
    2024 ACL 김은표 한끝 경찰학 기출문제집
    42,000 37,800
    10% 5%
  • 장품모-경찰학[장정훈 품격있는 최종 모의고사](8절)
    장품모-경찰학[장정훈 품격있는 최종 모의고사](8절)
    21,000 18,900
    10% 1%
제휴카페 BEST